당태종99 천금공주(千金公主): 난세를 살아가는 법... 글: 모운서(慕雲舒) 천금공주는 당고조 이연(李淵)의 딸이고, 당태종 이세민의 여동생이며, 당고종 이치의 고모이다. 그녀는 역사상 한가지 황당한 일을 저지른다. 683년, 당고종 이치가 죽고, 무측천이 태후가 되어 조정을 장악한다. 이때부터 이당종친에 대하여 첫번째 숙청을 시작하다. .. 2018. 3. 6. 진시황릉의 허실(10): 여산북록에는 진시황이 묻혀 있지 않다. 글: 진경원(陳景元) 숙후가 사망하고, 유명한 조무령왕이 즉위한다. 그후 얼마 지나지 않아 상산에 자신의 능묘를 '예수'하기 시작한다. <사기.조세가>의 기록에 따르면, 조무령왕은 "3년(기원전323년)부터 능묘를 만들기 시작했다." <사기.집해>를 보면 알 수 있다. 이 능묘의 위치.. 2018. 2. 7. 당태종의 태자 이승건(李承乾)은 왜 반란을 일으켰는가. 글: 정호청천(鼎湖聽泉) 당태종 이세민의 적장자로서 8살때 태자가 된 이승건은 당연히 역사의 행운아라고 볼 수 있다. 그런데 왜 나중에 서둘러 부친에게 반기를 들었다가 죽게 되었을까? 얘기하자면 길다. 이승건은 어렸을 때 매우 총명하고 철도 들고 결단력도 있었다. 진중하다고 할 .. 2017. 12. 29. 수당(隋唐)은 고구려(高句麗)를 치는데 왜 100년이나 걸렸는가? 글: 쌍미묘(雙尾猫) 고구려를 얘기하자면, 부득이 이국가와 수,당의 양대제국간의 반세기여에 걸친 전쟁을 얘기해야 한다. 그중 수왕조는 고구려와의 전쟁으로 국내모순이 발발하여 2세만에 멸망했다.(황태주 양동, 수공제 양유는 재위기간이 짧고 괴뢰황제에 속한다) 그렇다면 고구려는.. 2017. 10. 19. 천년전 사마르칸트의 벽화(고구려사신도 포함) 글: dagezi 1999년에서 2007년 사이에, 유엔 고고발굴팀은 중앙아시아 5개국과 인도북부의 "현장의 길"에서 중대한 발굴성과를 거둔다. 수백개의 불상, 2만평방미터의 벽화. 같은 시간, 중국북방에서도 연이어 중앙아시아에서 중국으로 왔던 소그드인의 북조에서의 문물들이 출토된다. 그리고.. 2017. 8. 7. 관료사회 철칙: 신군불용구신(新君不用舊臣) 글: 풍현일(馮玄一) 이세민이 즉위한 후, 소우(蕭瑀)의 운명은 곡절을 겪기 시작한다. 이세민시대에 소우는 "삼기삼락(三起三落)"을 겪는다. 제1차, 정관원년 십이월에 발생한다. 이세민이 새로 즉위하고 비록 소우를 상서좌복야(尙書左僕射)로 임용하지만, 방현령(房玄齡), 두여회(杜如晦).. 2017. 7. 21. 이전 1 2 3 4 5 6 7 ··· 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