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태종99 이승건(李承乾) : 당태종의 불운한 황태자 이승건 묘비 일대의 명군인 당태종은 태자교육에 아주 신경을 많이 썼다. 그러나, 결과는 그의 생각과 달라졌고, 그가 처음에 세웠던 황태자는 그가 생각하는 이상적인 후보자가 아니었다. 그리하여 정관말년이 되면서, 태자를 폐위하는 일과 새로 태자를 세우는 일이 당태종의 정치역정에서 가장 골.. 2007. 5. 28. "현무문의 변" 진행경과 글: 맹헌실(孟憲實) 무덕9년 6월 4일, 아침, 모든 것은 정상처럼 보였다. 이건성(李建成)과 이원길(李元吉)은 만나서, 동쪽에서 현무문으로 다가갔다. 이건성이 비교적 방심했던 이유는 현무문이라는 이 중요한 장소를 지키는 장군이 자기 사람이라는 것이었다. 그러나, 그는 꿈에도 생각지 못했다. 현무.. 2007. 5. 25. 당태종의 후계자 선정 배경 만년의 당태종에게 가장 골치아픈 문제는 태자문제였다. 정관17년 4월, 이승건(李承乾)이 태자위에서 폐위되었다. 이후 태자가 될 자격을 지닌 사람은 장손황후의 또 다른 두 아들이었다. 바로 위왕(魏王) 이태(李泰)와 진왕(晋王) 이치(李治)였다. 두 사람을 비교하자면, 이태의 조건이 훨씬 뛰어났다. .. 2007. 5. 23. 중국역사상 가장 싱거운 전쟁 글: 맹헌실(孟憲實) 고창(高昌)은 옛날의 지명이다. 구체적인 위치는 현재의 신강에 있는 투루판(吐魯番)이다. 이곳은 서역지역에 위치한 한족의 지방정권이었다. 그렇다면, 왜 고창국은 마지막에 당나라와 서로 싸웠는가? 왜 겨우 3만의 인구를 지닌 고창국을 치는데, 당나라는 그렇게 중시하여, 20만.. 2007. 5. 22. "현무문의 변"에서 감추어진 중요한 부분 글: 맹헌실(孟憲實) 아마도 어떤 사람은 이렇게 물을지 모른다. 현무문사건의 많은 구체적인 내용은 나중에 가려졌는데, 왜 위지경덕(尉遲敬德)이 황제(당고조 이연)를 연금한 내용은 그대로 남아 있게 되었는가? 처음에는 나도 이상하게 생각했다. 나중에 발견한 것은 이 글은 모두 위지경덕전에 기재.. 2007. 5. 17. 난정서(蘭亭序)에 대한 새로운 해석 <<난정서>> (당. 풍승소 모본, 신룡본, 북경고궁박물원 소장) <<난정서>> (원. 조맹부 모본) <<난정서>> (송. 인종 조정 모본) <<난정서>> (수. 개황 모본) <<난정서>>(청. 강희 모본) <<난정서. 현대. 모택동 글씨) <<난정서>> (청. 정판교 모본) 글: 예방육.. 2007. 4. 1. 이전 1 ··· 12 13 14 15 16 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