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서제87

환관의 "정신(淨身)" 글: 생활문적(生活文摘) 태감(太監)은 얼굴에 수염이 없고, 목에 목젖이 없고, 목소리가 가늘어지며, 말하는데 여자의 목소리와 기운이 있다. 행동거지와 동작도 여자같고 남자같지 않은 '중성인(中性人)'이 된다. 동한부터 시작하여, 모조리 엄인(閹人, 내시)을 썼다. 이는 황군의 내정.. 2015. 6. 16.
영대수도(瀛臺囚徒): 개혁황제 광서제의 비극 글: 장효파(張曉波) 1908년, 무신년(戊申年), 청광서34년. 불안했던 청나라 역사에서 1908년은 아주 두드러진 해이다. 8년전에는 전체 화북을 뒤흔들었던 의화단의 난과 8국연합군의 중국침략이 있었고, 3년후에는 천번지복할 신해혁명이 일어난다. 반드시 언급해야할 일은 이 해의 11월 13일.. 2014. 11. 20.
인삼장원(人蔘狀元) 옹동화(翁同龢) 글: 유계흥(劉繼興) 옹동화는 청나라말기의 역사에서 유명한 인물이다. 그는 청나라 함풍6년(1856년)에 장원급제하여 한림원수찬이 된다. 그후에 동치제, 광서제 두 황제의 스승이 되었다. 형부,공부,호부상서, 협판대학사, 군기대신, 총리각국사무대신등의 직위를 지낸다. 당시의 사람들.. 2014. 6. 23.
엄수(嚴修): 단포원세개(斷袍袁世凱) 글: 유강(劉剛), 이동군(李冬君) 어린황제 부의가 즉위하자, 그의 부친 재풍이 감국이 된다. 재풍은 광서제의 동생이다. 일단 취임하자 원세개를 향하여 칼을 휘두른다. 그러나, 그 칼은 머리를 향하여 휘두르지는 않았다. 그저 발 위를 내리쳤다. 원세개에게 족질(足疾)이 있다는 이유로 .. 2014. 4. 29.
이연영(李連英)의 진면모: 만들어진 매국노 글: 천진망 중국역사상 가장 유명한 태감은 아마도 이연영(李連英)일 것이다. 일반적으로 "李蓮英"이라고 적는데, 그것은 잘못된 것이다. 전해지는 바로는, 이연영이 태후와 공친왕의 사이에 정보를 전달하여, 정변을 성공시키는데 공헌을 했다고 한다. 그후, 그는 궁중에서 아주 신속히 .. 2014. 4. 6.
"연자이삼(燕子李三)"은 개세의 경공(輕功)을 지녔는가? 글: 북경만보 1930,40년대이래 민간에서는 '연자이삼'에 관한 각종 전설이 전해져 내려오고 있다. 그리고, 연자이삼을 원형으로 하여 창작된 영화드라마작품도 여러가지 버전이 있다. 예를 들어, 1972년 홍콩에서 찍은 영화 <연자이삼>이 있고, 1996년 북경전영제작창과 홍콩금정영업공사.. 2013. 12.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