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서제87

무훈(武訓): 거지 신분으로 정사와 교과서에 이름이 오른 인물 글: 단승택(段承澤) 민국시대에 어느 중학교에서 이런 시험을 보면서, 역사시험에 이런 내용이 있었다: 네가 가장 숭배하는 역사인물은 누구인가? 이때 거의 모든 학생들은 무훈이라고 썼다고 한다. 지금은 아마도 그를 아는 사람이 거의 없을 것이다. 그러나 중국역사상 확실히 그런 사.. 2018. 1. 6.
동치황후(同治皇后)의 죽음 글: 등해춘(鄧海春) 운명이 비참했던 청나라 황후를 들자면 아마도 사람들은 마지막 황후 완용(婉容)을 떠올릴 것이다. 완용은 확실히 운명이 비참했고, 시신이 어디에묻혔는지도 찾을 수가 없어서 마지막 국구(國舅)인 곽포라 윤기(郭布羅 潤麒)의 동의를 받아 2006년 "초혼"의 방식으로 .. 2017. 12. 21.
네덜란드 기자가 쓴 "서태후 장례식" 글: 추월랑(秋月朗) 1908년 11월 9일 대청제국의 자희황태후(慈禧皇太后), 즉 서태후의 장례식이 열린다. 네덜란드 기자인 헨리 보렐은 서태후의 영구가 북경성을 나서는 장면을 모두 목격하고, 일련의 귀중한 사진을 남기며, 이번 중국 최고등급 장례식의 화면을 기록으로 남겼다. 이뿐 아.. 2017. 12. 21.
동치제: 허수아비로 산 가장 불쌍한 황제 글: 문재봉(文裁縫) 오늘 이야기할 주인공은 동치제이다. 청나라가 산해관을 넘어온 이후 제8대황제이다. 그는 나이 겨우 19살에 병사하였으니, 단명황제이다. 역사의 긴 강물에서는 아주 짧은 일순간이다. 비록 그러하지만, 동치제는 제왕의 존귀한 몸으로 주목을 받는다. 우리는 그의 인.. 2016. 11. 5.
[황자쟁위술] 양장피단술(揚長避短術) – 홍인시효패(弘仁示孝牌) 함풍제편 청나라에서 후임황제를 정하는 방식은 네가지가 있었다. 처음에는 귀족추대방식으로 청태종과 순치제가 이런 방식으로 황제가 되었다. 다음에는 유조계위방식으로 강희제, 옹정제, 동치제가 이 방식으로 황제가 되었다. 그 다음에는 비밀입저방식을 취하는데, 건륭제, 가경제, 도광제, .. 2015. 7. 27.
일본의 제왕지도는 중국의 제왕지도와 어떻게 다른가? 글: 정만군(程萬軍) 허리에 전도를 차고, 완전무장을 하며, 눈빛은 강인하고, 냉혹교만하다. 이는 메이지시기 일본의 각 학교에 보내어진 젊은 일본 메이지천황의 사진모습이다. 이는 일본역대천황의 표준상이라고도 할 수 있다. 이런 이미지는 사람들에게 냉혹과 폭력이라는 이미지를 .. 2015. 6.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