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중국의 지방/북경의 어제55

북경의 청나라 왕부(王府)....그 세번째 18. 공왕부(恭王府) 공왕부는 서성구 전해서가(前海西街)에 위치하고 있다. 공왕부의 건축은 건물과 화원의 두 부분으로 나눌 수 있고, 부지면적은 46.5무이고, 중동서의 3로로 나눌 수 있다. 각각은 사합원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뒤에는 160여미터에 이르는 이층후조루가 둘러싸고 있고, 루.. 2005. 8. 11.
북경의 청나라 왕부(王府)....그 두번째 9. 나왕부(那王府) 나왕부는 보초(寶초)후통내의 국상(國祥)후퉁 갑2호에 소재하고 있다. 몽고 커얼커 사이인노얀부 자사크 화석친왕 나얀투(那彦圖)의 왕부이다. 국상후통 갑1호의 두개의 건물은 원래 왕부에서 중로의 가장 북쪽에 있는 두개의 나란히 있던 건물이다. 집안에는 2개의 태.. 2005. 8. 11.
북경의 청나라 왕부(王府).... 그 첫번째 1. 숙친왕부(肅親王府) : 일본대사관 - 북경시정부(현) 위치는 동성구 정의로(正義路) 동쪽에 있다. 순치시절에 지었으며, 역대로 숙친왕을 세습한 왕들이 이곳을 저택으로 삼았다. 1901년 일본대사관으로 변하였으며, 단지 담장만 남았다. 그 장소에는 현재 북경시정부가 들어서 있다. 숙친왕 하오거(豪.. 2005. 8. 11.
북경의 성문 북경에는 자금성, 황성, 내성, 외성등 여러 성벽으로 둘어싸여 있으며, 성벽에는 드나드는 문이 있다. 예로부터 내구외칠(內九外七)이라고 하여 내성에는 9개의 성문이 있고, 외성에는 7개의 성문이 있다고 하였다. 내성의 9개의 문 : 숭문문(崇文門), 정양문(正陽門), 선무문(宣武門), 부성문(阜成門), 서.. 2005. 8. 8.
송경령고거(宋慶齡故居) 송경령(중국의 국부인 손문의 부인)이 마지막으로 기거했던 북경의 거주지는 현재 송경령고거라는 이름으로 관광객들에게 개방되어 있다. 송경령은 송씨삼자매(송애령, 송경령, 송미령)의 하나로써 중국근대사에서 빼놓을 수 없는 인물이다. 현재 송경령고거로 알려진 서쪽과 현재 중국.. 2005. 7. 24.
북경의 지명 변천사 1. 유릉(幽陵), 유도(幽都), 유주(幽州) 오늘날 보통 얘기하는 바로는, <<사기, 오제본기>>, <<상서, 우공>>에 현재의 북경지구를 전욱의 시대에는 유릉이라고 부르고, 요(堯)임금시대에는 유도라고 불렀으며, 순(舜)임금시대에는 유주라고 불렀다고 기재하고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 2005. 7.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