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중국과 한국81

베이징 북한식당의 작은 비밀 글: 목춘산(木春山) 필자는 13명의 북한식당 종업원이 '탈북'했다는 뉴스를 보았다. 북한정부는 중국에 불만을 표시했다. 그래서 생각나는대로 북한식당에 관해서 적어보기로 한다. 기억 속에 베이징의 북한식당은 아주 많다. 몇년전에 요란하게 떠들던 평양000도 있다. 그곳의 종업원은 .. 2016. 4. 15.
북한은 왜 국제제재를 겁내지 않는가? 글: 채진곤(蔡鎭坤) 유엔은 지금 북한을 엄중제재하는데 컨센서스를 이루었다. 그러나 북한은 곧 위성 즉, 장거리미사일을 발사할 것아라는 소식이 전해진다. 1월 2일 저녁 국제해사조직은 확인해주었다. 이미 북한의 통보를 받았고, 북한은 2월 8일에서 25일 사이에, "지구관측위성"을 발.. 2016. 2. 6.
저우용캉사건과 북중관계 글: 저우샤오후이(周曉輝) 얼마전에 중국 외교부 부부장 청궈핑(程國平)은 기자회견에서 기자가 러시아 5.9경축행사동안 '북중수뇌회담이 이루어질 것인지'를 묻는데 대하여, '구체적인 상황을 보아야 한다'고 답변했다. 즉, 시진핑과 김정은의 회담은 확정되지 않았다는 말이다. 모든 것.. 2015. 2. 24.
중국공산당과 조선공산당의 관계 글: 심지화(沈志華) 20세기의 대부분 기간동안 중국과 북한 양국은 도대체 어떤 관계였을까? 절대다수의 중국인의 인상 속에서, 1949년이래 북중관계는 중소관계와 큰 차이가 있다: 중소관계는 경계가 분명하다. 전10년간 소련 큰형님은 모든 것이 좋았다. 신문뉴스에는 찬송하는 보도만이 .. 2014. 7. 17.
한국전쟁때 중국은 돈을 얼마나 썼는가? 작자: 미상 1950년 10월 상순과 중순, 북한은 위기일발에 처한다. 10여일동안 중공중앙은 다시 회의를 개최하여 반복하여 토론하지만, 많은 사람들은 여러가지 곤란한 점을 들어 출병하지 말 것을 주장한다. 소련은 공군을 출동하는 문제에서 계속하여 소극적인 태도를 나타낸다(처음에는 3.. 2014. 7. 17.
김정은에게 남은 시간은 많지 않다. 글: 호각조(胡覺照) 전제사회에서 황권이 지고무상인 이유는 군권(軍權)이 지탱해주기 때문이다. 수중에 군대가 있으므로 황제라는 조폭두목의 자리는 흔들리지 않는 것이다. 군권이 지탱해주지 않는다면 황권의 가치는 마이너스이다. 보통백성이 되고 싶어도 되지를 못한다. 이것은 중.. 2014. 1.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