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중국과 역사인물-시대별/역사인물 (공통)61

황제사후 비불발상(秘不發喪)의 비밀 글: 대지약(大智若) 일세를 풍미하고, 권력을 독단,전횡하며 풍운을 질타했던 황제가 죽은 후에 시체가 썩을 때까지 그냥 놔두고 장례식을 치르지 않은 경우들이 있다. 이들 제왕의 시체에는 도대체 무슨 비밀이 있었던 것일까? 제환공의 경우 공자소백(公子小白)이 계모를 써서 왕위를 .. 2012. 4. 12.
중국역사상의 양부, 양자. 글: 도단방(陶短房) 언제부터인지 '양부'는 오락계, 특히 홍콩 대만이 오락계에서 '잠문화(潛文化)'였다. 그런데 지금은 본토에 상륙하였고, 소리소문없이 오락계뿐아니라 반오락계까지 만연되었다. '양자'가 되는 것은 오락권 혹은 반오락권의 인사이고, '양부'가 되는 것은 더욱 유명한 .. 2012. 3. 28.
중국의 태상황(太上皇) - 송,명,청 글: 소가노대(蘇家老大) 중국역사상 당왕조의 태상황과 수량이 같은 것은 송왕조이다. 그러나 당나라의 태상황은 대부분 부득이한 상황하에서 나타난 것과는 달리, 송나라의 태상황은 기본적으로, "강적이 국경으로 압박해 들어오자 황위를 다른 사람에게 넘겨버린 경우와 정무에 염증.. 2012. 3. 14.
중국의 태상황(太上皇) - 당 글: 소가노대(蘇家老大) 당나라는 중국인들이 가장 그리워하는 왕조이며, 중국역사상 태상황을 가장 많이 배출한 왕조이기도 하다. 양견이 북주의 고아과부로부터 북주정권을 탈취한 후, 개황원년(581년) 정식으로 수왕조를 건립한 때로부터 당공 이연이 양유(楊侑)를 괴뢰황제로 옹립한 .. 2012. 3. 14.
중국의 태상황(太上皇) - 당이전 글: 소가노대(蘇家老大) 중국의 태상황은 중국황권정치의 특산이다. '가천하(家天下)'의 특유한 현상이다. 사서(辭書)에는 '태상황'을 이렇게 해석한다: "제의 부친, 태상황제(太上皇帝)도 한다. 약칭하여 상황(上皇)이라고도 한다." 황제에서 태상황이 되는 것은 현대의 정치술어로 말하자.. 2012. 3. 14.
중국역사상의 일문삼걸(一門三傑) 글: 아파라망(阿波羅網) 삼(三)은 아주 특수한 숫자이다. 도원삼결의(桃源三結義), 삼족정립(三足鼎立), 삼정정천산(三箭定天山), 연중삼원(連中三元), 맹모삼천(孟母三遷), 삼고초려(三顧草廬), 주과삼순(酒過三巡), 사불과삼(事不過三).... 과거시대에, 일문삼진사(一門三進士)는 .. 2012. 2.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