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중국과 역사사건/역사사건 (명)120

명나라때 일어난 환관의 데모 글: 이개주(李開周) 명나라 성화(成化) 연간에 북경성에서는 데모사건이 벌어졌다. 황제시대에 중국에서 데모가 일어난다는 것은 아주 드문일인데, 이 때는 예외였다. 데모에 참가한 사람이 4천여명이었을 뿐아니라, 데모행렬은 자금성에 가까이 다가갔고, 더욱 놀라운 일은 데모대의 구성원들이 모조.. 2007. 10. 31.
명나라 황실은 왜 무당산을 중건했는가? 글: 중화유산 전해지는 바에 의하면, 무당산(武當山)은 북극진무현천상제(北極眞武玄天上帝)가 득도하여 우화한 장소라고 한다. 그리하여 역대로 도교의 궁관(宮觀)이 가득하다. 그러나, 많은 사람들은 무당산을 '무협'으로 인식한다. 고심막측한 내가권(內家拳), 사량발천근(四兩拔千斤)의 태극권..... 2007. 9. 28.
명나라의 해금정책(海禁政策)은 쇄국정책(鎖國政策)인가? 글: 유앙(劉仰) 명나라 역사를 얘기할 때, 많은 사람들은 주원장의 해금(海禁)정책을 우매하고 낙후된 쇄국정책이라고 비난한다. 표면적으로 보면, 확실히 그렇다. 그러나, 우리가 깊이 원인을 따져본다면, 이 정책은 특정한 대상을 가지고 있었고, 간단하게 전면적인 쇄국정책이라고 말하기 힘들다는 .. 2007. 7. 6.
이시진(李時珍)의 표준화상에 관한 이야기 장조화(蔣兆和)가 그린 이시진상 북경의과대학이 보관하고 있는 이시진상 현재 사람들이 많이 보고 있는 이시진의 모습은 원래 이시진의 모습과 전혀 다르다. 그리고, 비교적 진실한 것으로 생각되어지는 이시진의 화상은 반세기동안 전혀 공개되지 못하고 있다. 1950년대이후 지금까지 중국내, 외를 .. 2007. 3. 27.
명나라역사붐 : 유행의 문화버블 글: 심천상보(深圳商報) 2006년, 출판계와 인터넷에는 명나라역사붐(明史熱)이 있었다. 그리하여 이미 작년임에도 자꾸 "명(明)"년이라고 부르게 만든다. 생각도 못한 것은 2007년이 시작되자마자, 호남위성TV가 46부작 <<대명왕조1566>>이라는 드라마를 방영하시 시작하였고, 이는 명나라역.. 2007. 3. 10.
영파 쌍서도(寧波 雙嶼島) : 16세기의 글로벌 무역중심 1. 영파 쌍서도: 500년전의 세계무역센터의 소멸 500년전, 명황조는 가장 엄격한 해금(海禁)정책을 실시했다. 왕직(王直)의 해적무장밀수집단이 경영하던 영파 쌍서도(현재의 주산육횡도)는 그러나 전세계적인 무역의 중심지였다. 유럽과 일본에서 들어오는 백은이 쉬지않고 이 곳으로 운송되어 왔고, .. 2007. 3.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