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중국과 역사사건/역사사건 (명)120

가정대지진(嘉靖大地震): 83만명이 사망한 명나라 광세천재(曠世天災) 글: 백년고독(百年孤獨)​1556년 1월 23일의 깊은 밤, 인류역사상 사망자수가 가장 많은 지진이 황토고원을 찢어발겼다. 에서 "땅이 갈라지고, 샘물이 솟으며, 건물은 모조리 무너졌다(地裂泉湧, 屋宇盡塌)"라고 한 진도8의 대지진이었다. 섬서성 화현(華縣)을 진앙지로 하여, 83만명의 목숨을 삼켰는데, 이는 당시 중국총인구의 1.5%에 해당했다. 이미 누렇게 된 사료들을 펼쳐보면, 460여년전의 그 겨울밤의 전율을 여전히 느낄 수 있다. ​"산천역위(山川易位)"의 말일광경​지진파는 매초 3킬로미터의 속도로 섬서, 산서, 하북의 3개 성을 석권했고, 600킬로미터에 이르는 단열대를 형성했다. 사료기재에 따르면, "성벽이 모조리 무너지고, 땅이 수십곳 갈라졌다(城垣盡崩, 地裂數十處)" 위하(渭河)는 물길을.. 2025. 3. 31.
발배의 난(哱拜之亂): 명나라의 몰락의 전환점 글: 연소적도군(燃燒的島群)​화기(禍起)​명나라 만력19년(1591년) 팔월, 섬서 영하진(寧夏鎭).서북의 하늘은 음울했다. 두터운 먹구름이 이 변방도시를 뒤덮고 있었으며, 성안의 분위기는 숨을 쉬기조차 힘들 정도로 억눌려 있었다.벼슬에서 이미 물러난 대명의 전 부총병(副總兵) 발배(哱拜)는 집안의 대청에 단정하게 앉아있었고, 손에는 자신의 양자가 구금되었다는 소식이 담긴 편지가 꽉 쥐어져 있었다. 그의 얼굴색은 굳어졌고, 눈에는 분노의 불길이 타올랐다. 마음 속은 비분으로 가득찬다."당형(黨馨) 이 필주가 사람은 너무 업신여기는구나!"발배는 순간 분노가 폭발했고, 주먹을 들어 탁자를 내려쳤고, 탁자 위에 놓인 찻잔이 바닥에 떨어진다.창밖의 칠흑같은 하늘을 바라보던 발배는 만감이 교차했다. 자신이 여러 .. 2025. 3. 14.
오교병변(吳橋兵變): 닭 한 마리가 불러온 참사, 대명과 후금의 운명을 바꾸다. 글: 약진역사(躍進歷史)​역사는 이렇게 황당할 때가 있다. 정말 사소한 일이 천군만마의 국면을 가볍게 뒤흔들 수도 있는 것이다. 숭정4년(1631년), 산동(山東)의 오교(吳橋)에서 닭 한마리로 인해 일어난 충돌이, 전체 정예 화포부대의 반란을 불러온다. 대명이 거액을 들여 만든 "정예화기영"이 단시간내에 등주성(登州城)을 함락시키고, 후금에 투항하여, 후금이 대명을 공격하는 핵심부대가 된다. 오늘날의 이야기에 비유하자면, 수십년의 시간을 들여 연구개발한 첨단무기가 적군에 고스란이 넘어간 것이나 다름없는 것이다.​명나라말기 요동에서는 전투가 빈번하게 발생했다. 누르하치의 후금이 굴기한 후, 대명의 전통기병과 보병은 이미 계속 패퇴하는 추세였다. 특히 살이후전투(1619년)이후, 명군의 열세는 분명하게 드.. 2024. 12. 23.
이암(李岩)의 신세내력과 대순(大順)의 멸망 글: 오유신(吳有信)​1944년 항일전쟁 7년째를 맞이하여, 각 정치세력 새롭게 판을 짜고 있을 때, 중국은 명나라멸망 300주년기념일을 맞이한다. 당시 중국의 내외정치환경은 이제 막 만청외족통치를 무너뜨린지 얼마 되지 않았고, 새로운 외적이 다시 문앞까지 쳐들어와 있는 상태였다. 국면이 명나라말기와 상당히 비슷했다. 숭정제(崇政帝)와 유사한 장개석(蔣介石), 그리고 이자성(李自成)과 비슷한 모택동(毛澤東), 그리고 오삼계(吳三桂)와 비슷한 왕정위(汪精衛), 그리고 만청(滿淸)과 비슷한 일본인까지.​선전을 잘 하던 공산당이 영도하는 좌파문인들이 이런 절호의 기회를 놓칠 리 없다. 그리하여, 교관화(喬冠華), 전백찬(翦伯贊)은 곽말약(郭沫若)을 찾아가서 상의를 한 다음 곽말약이 시사를 풍자하는 기념글을 쓰.. 2024. 11. 21.
"토목보의 변(土木堡之變)"을 둘러싼 의문점 글 : 장풍명월(長風明月)​명나라 정통14년(1449년), 오이라트(瓦剌)대군이 남하하여 명나라변경으로 침입했다. 명영종(明英宗)은 직접 군대를 이끌고 북상하였고, 토목보에서 오이라트군대에 패배하여, 명영종이 포로로 잡힌다. 토목보의 변은 명나라가 상승기에서 하강기로 접어드는 전환점이 되었는데, 사서의 기록에는 여러가지 의문점이 많다.​주류기록상의 토목보의 변의 경위토목보의 변토목보의 변은 주로 명종본기와 왕진전(王振傳)에 실려 있다. 다른 사람들의 전기에도 드문드문 관련이야기가 실려 있다. 주요 경과는 다음과 같다: ​[오이라트침입]​정통14년(1449년) 칠월, 오이라트는 4로로 나누어 대거 침입한다. 동로는 요동을 공격하고, 서로는 감주(甘州, 지금의 감숙성 장액)을 공격하고, 중간은 2로로 나누.. 2024. 11. 19.
<규범도설(閨範圖說)>: 황위승계다툼에 말려들다... 글: 춘추소력(春秋小歷)​만력18년, 여곤(呂坤)이라는 사람이 산서안찰사(山西按察使)로 부임했다.​이 직위는 상당히 중요하다. 권력도 아주 크다. 산서성의 법률과 감찰업무를 책임지는 자리이고, 적어도 정사품(正四品)에 해당한다.​이 여곤이라는 사람은 관리가 되기 전에 명나라의 거유(巨儒)로 학식이 뛰어났고, 책을 편찬하고 쓰는 것을 좋아했다. 그는 산서에 부임한 후, 남는 시간에 책 하나를 편찬하여 출판한다. 명칭은 이다.​이 책은 인물의 전기로 주로 명나라이전 역대왕조 정결열녀(貞潔烈女), 현부양녀(賢婦良女)들의 이야기이다. 그녀들의 행위를 선양하고, 그녀들의 품덕을 칭송함으로써 천하의 여자들이 본받도록 선전하는 작용을 하는 것이다.​이 책이 나온 이후 널리 호평을 받고, 산서에서 적지 않은 수량이 인.. 2024. 10.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