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중국과 역사사건/역사사건 (명)

명나라역사붐 : 유행의 문화버블

by 중은우시 2007. 3. 10.

글: 심천상보(深商報)

 

2006년, 출판계와 인터넷에는 명나라역사붐(明史熱)이 있었다. 그리하여 이미 작년임에도 자꾸 "명(明)"년이라고 부르게 만든다. 생각도 못한 것은 2007년이 시작되자마자, 호남위성TV가 46부작 <<대명왕조1566>>이라는 드라마를 방영하시 시작하였고, 이는 명나라역사붐에 다시 불을 댕겼다. 많은 관중들과 인터넷에서의 열렬한 토론은 이 드라마를 미디어가 주시하는 촛점으로 만들었다. 명나라는 우리시대에서 그다지 멀리 떨어져 있지 않지만, 상대적으로는 낯선 왕조인데, 이처럼 우리의 시야에 한걸음 한걸음 다가오고 있다.

 

청나라때의 반만주족분위기에서, 손중산을 포함한 혁명가들이 들었던 기치는 여전히 청나라초기와 같은 "반청복명"의 그림자였다. 명태조 주원장을 참배하는 것은 한족의 민족주의를 자극하는 아주 중요한 조치였다. 중화민국의 건국에 이르기까지 "오족공화(五族共和, 한,만,몽,장,회의 오족이 평화롭게 공존하는 것)"는 중국땅에서 중요한 기치였다. 명나라는 우리의 기억에서는 아주 독특한 왕조이다. 명나라는 몽고족의 원나라를 전복시켰으면서도 다시 만주족의 청나라에 전복되었다. 오늘날 사람들 사이에 "명나라역사붐"이 일어나는 것을 살피는 것은 반드시 명나라통치의 이런 특색에서 출발해야 한다. 이런 특수성은 주씨의 명왕조의 기초는 양송시대의 비교적 느슨하고 문명적인 통치의 반동으로 나타난다. 개국황제인 주원장에 대하여 얘기하자면, 양송의 정치해태와 국력쇠약이 이민족에 의한 멸망으로 이어졌다. 이것은 명나라가 시종일관하게 고도의 중앙집권을 유지하면서 극도의 보수적인 태도를 취한 역사적 원인이다. 오늘날 명나라역사를 읽어보면, 역사의 이런 한계를 극복하지 못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역사에서 교훈을 얻는 것은 좋으나, 옛사람들을 가혹하게 질책하는 것은 그다지 이성적인 방법은 아니다. 역사를 자르고, 문화공리주의를 취하는 것도 역시 취하여야 할 방법은 아니다.

 

현재 유행하는 "명나라역사붐"을 보면, 현실세계를 기준으로 명나라역사를 공리주의로 해독하고 있다. 오늘날의 관점으로 역사의 부분들을 잘라서 보는 것은 사이비 논리방식이며, 각자의 역사에 대한 욕망을 만족시킬 뿐인 것이다. 이런 "역사붐"은 버블의 운명을 피할 수 없다.

 

화면상의 <<대명왕조1566>>을 말하자면, 이 드라마가 채태간 것은 1566년의 명나라 가정황제시대의 역사에 대하여 예술적인 가공을 거쳐 가정황제의 혼용(昏庸)을 드러내고, 청렴한 관리인 해서(海瑞)를 드러냄으로써 호소력을 지니게 하려는 것이다. 시청률이 얼마가 되든지 간에, 이 극은 이런 통속적인 틀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첫째는 역사를 초월하는 극의 효과를 노리고 있다. 이는 범람했던 "변자희(子戱; 변발머리극, 즉 청나라를 배경으로 한 역사드라마)", 날로 늘어나던 "한당성세희(漢唐盛世戱, 한나라 당나라의 태평성세를 배경으로 한 역사드라마)" 를 또 다른 방법으로 연출한 것에 불과하다. 즉, 대중오락문화를 추종하고, 근본적으로 시장에서의 이득을 목표로 하고 있는 것이다. 대중문화의 심미관과 시장의 문화조작에 기초함으로써, 이런 역사극은 엄숙한 "정사(正史)"나 "신사(信史)"가 될 수 없었던 것이다. 그리하여 결국은 "희설(戱說, 지어낸 이야기)"이 될 수밖에 없다. 둘째는 청백리 해서를 드러내는 것은 현실에서의 부정부패때문에 필요한 점은 있다. 그러나, 예술의 각도에서 본다면, 이 극은 정치의 도구라는 성격이 너무 강하다. 하물며, 청백리반부패의 도덕적 이미지와 현재의 법치반부패의 정치이념은 서로 거리가 멀다. 셋째는 이 시기의 역사를 잘라서 처리하는 것은 역사를 왜곡하는 것으로 볼 여지가 있다. 황인우(黃仁宇)의 <<만력15년>>과 다르다. 비록 황인우는 "실패의 역사"를 쓰는 것이라고 강조했지만, 그러나, 가정제가 어떻게 영명한 군주에서 혼용의 군주로 되어갔는지에 대한 역사적인 원인과 개인의 심리역정을 아주 사실적으로 묘사하였다. 그러나, 드라마에서는 이런 역사적인 논리가 빠졌다. 가정황제는 태어나면서부터 혼용한 군주로 판단하고 있다. 그래서 경극의 마스크를 씌우는 방식으로 역사를 해석하고 역사인물에 고정적인 이미지를 부여했다는 혐의를 벗어나기 힘든 것이다. 이런 드라마는여 관중이 한번 보면 그냥 잊어버린다.

 

인터넷에 유행하는 "풀뿌리역사쓰기"의 "명나라의 그런 일들"은 형식이 내용보다 중시되고, 있으며, 최대의 의의는 "명나라의 그런 일들"을 쓰는데 있지 않고, 모의세계인 인터넷에서 풀뿌리들이 자유롭게 제공하는 "그때 일들"이 되어 버렸다. 왜냐하면 이들이 표방하는 것은 풀뿌리의 자유로운 언론의사표시이지, '명나라때 있었던 일'을 역사적으로 기록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그 뿐아니라. "당년명월"이 쓰는 것은 예로부터 있어오던 민간인사들의 역사해석과 야사의 범주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엄격한 학술적인 조사연구가 결핍되어 있기때문에 '믿을만한 역사'가 될 수 없는 것이다. "당년명월"의 창작의도가 아무리 순수하다고 하더라도, 그는 대중들의 인기에 영합하기 위하여 스스로 즐기는 식의 글을 썼다는 혐의를 벗어나기는 힘들 것이다. 이런 인터넷명사들, <<명나라의 그런일들>>이 오래 유행하지는 않을 것이다.

 

황인우 선생은 아주 존경할만한 역사학자이다. 그의 <<만력15년>>, <<중국대역사>>, <<허드슨강변에서 중국역사를 얘기하다>>등은 모두 중국에서 큰 인기를 끌고 있다. 원인은 세가지이다. 첫째는 역사시야가 서방역사연구의 분석방법을 써서 역사의 맥락을 짚고 있고, 중국역사가들의 나열식이나 유물주의사관으로 역사를 분석하지 않았다. 그리하여 중국독자들이 읽으면 신선함을 느낄 수 있는 것이다. 둘째, 황인우 본인이 민간역사학자이다. 그가 역사를 해독하는 것은 학술적인 맛은 적지만, 인정미는 많이 느낄 수 있다. 그래서 민중들이 좋아하는 것이다. 셋째, 개방시대의 중국민중은 대륙외의 학자들의 저작에 대하여 편애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어쨌든 황씨의 <<만력15년>>은 명나라역사연구의 참고자료이고, 정설이 되는 역사적 결론이 될 수는 없다. 잘팔리는 역사에 관한 글은, 독자들도 곧 지겨워할 때가 오는 것이다.

 

이렇게 보자면, 소위 "명나라역사붐"은 모두 현실세계의 투영이고, "명나라역사"의 근본은 건드리지 못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공리적이고, 세속적이고, 그저 즐겁게 듣고 보기 위한 것이다. 모두 시대의 추세를 따라가는 속성을 지니고 있다. 그러나, 역사의 객관적인 진실은 시류의 흐름에 따라 변화할 수는 없는 것이다. 후세인들이 역사를 읽는 것은 흥망에 대한 교훈을 알고, 역사적인 수수께끼를 풀어보려는 것이다. 몽고의 원나라 만주의 청나라의 사이에 낀 "명나라역사"를 연구하는 것은 그 역사적인 특수성을 생각해야 하는 것이다. 희설이던 아니면 '정사'의 겉옷을 걸치든, 역사인물에 대하여 임의로 해석하는 것은 모두 명나라역사에 대한 왜곡이다. 이런 "명나라역사붐"은 그저 유행의 문화버블이 될 수밖에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