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중국과 사회701

중화민족: 통치자에 순화되고 있는 민족 글: 여홍래(吕洪来) ​ 어떤 사람들은 항상 중국인이 나약하고, 반항정신이 결핍되어 있다고 원망한다. 실사구시적으로 얘기하자면, 현재 일부 중국인들은 반항정신이 결핍되어 있고, 최소한의 정의감도 결핍되어 있고, 최소한의 도덕과 양식도 결핍되어 있다는 것은 다툼없는 사실이다. 즉, 오늘날 일부 중국인들의 모습은 인류가 마땅히 가져야할 문명에 배치된다고 말할 수 있다. 어떤 사람은 이런 현상의 책임을 공산당의 고압적인 정치와 잔혹한 통치에서 찾고, 민중의 폭정에 대한 공포때문이라고 말한다. 만일 고압적인 정치때문에, 공포때문에, 중공의 일당독재통치에 침묵을 유지하고, 감히 반항하지 못한다고 말한다면 그것은 이해할 수 있다. ​ 다만, 사람으로서 마땅히 최소한의 정의감, 최소한의 도덕과 양심, 최소한의 시비관.. 2024. 4. 15.
"애국자"와 "깡패삼철칙" 글: 풍만만(風慢慢) ​ 1 ​ 노신(魯迅)은 라는 글에서, 깡패의 기원을 "묵자의 제자(墨子門徒)"들에게까지 거슬러 올라갔다. 즉, "협(俠)"이다. "협"이 되려면 요구조건이 까다롭고, 사망율도 높고, 보답은 낮았다. 그래서 강도로 변신한다. 그렇지만 계속하여 "체천행도(替天行道)"라는 깃발은 여전히 들고다닌다. ​ 나중에 협기(俠氣)가 있는 사람들이 점차 사라지면서 노예근성이 주류로 된다. 그리하여 강도짓을 해서는 안전하지 않으므로, 깡패로 변신하게 된다. ​ 깡패들이 평소에 무슨 일을 하는가? 노신은 이렇게 설명했다: ​ "스님들이 술을 마시면 그가 때린다, 남녀가 간통을 하면 그가 붙잡는다. 매춘을 하면 그가 능욕한다. 그것은 선량한 풍속을 유지하기 위함이다. 시골사람이 조계의 규정을 모르면 그.. 2024. 3. 13.
중국인에게 가장 부족한 것은 무엇인가 글: 안순구(顔純鉤) ​ 최근 들어 사상해방이 해외에서 핫이슈로 되었다. 사상해방은 개혁개방초기 등소평, 호요방등이 독재사상의 굳건한 얼음을 깨고, 인민의 적극성을 자극하기 위한 영단묘약이었다. 그런데, 오늘날 다시 옛날 수법을 들고 나오다니 일이 조금 기묘하다는 생각이 든다. ​ 중공은 반세기동안 이데올로기를 통제했고, 사상의 벽을 꽁꽁 틀어막았다. 오직 당의 의지만 있을 뿐, 백성들의 사상의 자유는 없었다. 그리고 정치적으로는 엄격하게 통제하고, 문화적으로도 일방적이었다. 이것이 바로 경제가 고인물처럼 된 근본원인이다. 등소평은 중공정권이 위기에 빠졌을 때, 의연히 뱃머리를 돌려서, 사방의 시장경제발전의 도로를 따라갔다. 사상해방이 발단이 되어 계속 순항했으며, 정치, 경제, 문화의 금기를 깨트렸다... 2024. 2. 27.
애국주의(愛國主義)를 내세우지 말라! 글: 만천(萬千) ​ 최근 들어 독특한 샤오펀홍(小粉紅)들은 자신을 '애국자'로 자처하면서 정부를 비판하는 모든 사람들을 물어뜯고 있다. 기실, 그들은 지금까지도 "국가"의 개념을 잘 모르고 있다. 무엇이 "국가"인가? 국가라는 것은 그저 공동(空洞)의 개념이다. 만일 실체라면 다음의 몇 가지 요소로 이루어진다: 먼저 토지가 있어야 한다. 그후에 이 토지 위에서 생활하는 한 무리의 사람이 있어야 한다. 그리고 이들 무리의 사람들이 창조한 민족문화와 역사문명이 있어야 한다. 진정한 애국자라면 이상의 요소를 사랑해야 한다. 그리고 정부의 현대사회에서의 개념은 민중의 선거로 이 사회를 관리하는 소수의 집정자를 가리킨다. ​ 진정한 애국자는 이 토지상의 민중, 자연환경과 역사문화를 사랑해야 하고, 당파, 정부와.. 2024. 2. 13.
"허세(許世)": 중국에 1명만 남은 성, 스리랑카왕자의 후손 글: 무풍(無風) 중국고대의 역사는 유구하고, 문화의 연원도 길다. 성씨도 그 중의 하나이다. 성씨는 두터운 족보처럼 화하자손의 원류와 변천을 기록하고 있다. 장(張), 왕(王), 유(劉), 이(李)등 자주 볼 수 있는 성씨들을 제외하고, 중국에는 보기 드문 성씨들도 있다. 예를 들면 제일(第一), 상관(上官)같은 성씨들이다. 그러나, 이런 성씨도 아무리 드룸라도 하더라도 전국에 천명은 넘는다. 그러나, 여러 성씨들 중에서 하나의 성씨는 전국에 오직 1명뿐이다. 그렇다면 그 성씨는 도대체 어떻게 된 것일까? 그 성씨는 바로 "허세(許世)"이다. 이 성씨는 스리랑카(錫蘭, 실론)의 왕자에서 유래한다. 스리랑카는 열대의 도서국가이고, 자연풍광이 아름답다. 그러나, 그 시대에 스리랑카의 발전과 외부와의 교류는.. 2024. 2. 7.
양계초(梁啓超) 손자: 우리 3대는 모두 실패자이다 글: 추체독서(抽屉讀書) ​ 양씨삼대인물 ​ 양계초는 위난에 처한 국가를 구하기 위하여 사방에 호소했었다; 양사성(梁思成)은 사라질 위기에 직면한 전통성시건축물을 구하기 위하여 사방에 호소했었다; 양종계(梁從誡)는 세상만물이 생존을 의지하는 자연환경을 구하기 위하여 사방에 호소했었다. ​ 양씨집안의 혈맥에 뿌리내린 집착, 정직과 용감하게 말하는 태도는 중국의 지식인이 마땅히 가져야할 모습이다. ​ 이는 거의 백년간 사람들에게 잘못 읽혀온 시이다: ​ "너는 나무 하나 하나에서 핀 꽃이고, 제비가 대들보 사이에서 지저귄다. 너는 사랑이고, 따스함이고, 희망이다. 너는 인간사월천(人間四月天)이다." ​ 임휘인(林徽因)의 이 문구는 많은 문학청년들이 반복하여 암송한 것이고, TV드라마는 이 말을 사랑의 속삭임.. 2024. 2.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