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에서의 하루중의 시간표기법
중국고대에 하루를 어떻게 나누어 표시했는지를 간략히 살펴본다. 1. 십이시진제(十二時辰制) 서주(西周)시대때부터 쓰였다. 한(漢)나라때에는 야반, 계명, 평단, 일출, 식시, 우중, 일중, 일실, 포시, 일입, 황혼, 인정으로 나누었다. 또한, 12지지를 사용해서 부르기도 하였는데, 즉 밤23시부터 새벽1시까..
2006. 7. 3.
중국 고대의 성이 계집녀(女) 방(旁)인 이유는...
고고학 자료에 따르면, 서주(西周) 청동기의 명문에 보이는 성(姓)으로 확인가능한 것들이 30개에 미치지 못한다. 이러한 서주시대의 최초의 성은 거의 모두 계집 녀(女)자 방이다. 예를 들어, 희(姬), 강(姜), 사(姒), 영(嬴), 요(姚), 호(好), 비(妃), 임(妊), 길(姞), 괴(媿), 규(&..
2006. 7. 1.
중국대학입시의 논술문제와 기묘한 답안들...
[2006년 호북성 논술문제] 중국어에서 "삼(三)"은 의미가 있는 숫자이고, 많은 성어를 만들어 냈다. 예를 들어, "삼사이행(三思而行, 세번 생각하고 행동한다), 거일반삼(擧一反三, 하나를 예로 들면 세가지를 유추해서 알아듣는다), "삼인행, 필유아사(三人行, 必有我師, 세 사람이 길을 가면, 반드시 내 ..
2006. 6.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