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중국과 사회/중국의 사회

중국의 젓가락과 관련된 금기 10가지

by 중은우시 2006. 7. 2.

중국인이 젓가락(筷子)을 사용하여 식사를 하는 것은 오랜 옛날부터 전해져 내려온 것이다. 옛날에는 "저(箸)"라고 불렀다. 일생생활에서 젓가락의 사용에 대하여는 따지는 것들이 많다. 일반적으로 우리가 젓가락을 사용할 때, 정확한 사용방법은 반드시 오른손으로 젓가락을 집어야 하며, 엄지손가락과 식지는 젓가락의 위를 누르고, 다른 세개의 손가락은 자연스럽게 굽혀서 젓가락을 받쳐주며, 젓가락을 양끝은 가지런해야 한다. 식사전에 젓가락은 반드시 가지런하게 하여 밥그릇의 오른쪽에 놓아두어야 하고, 식사후에는 반드시 밥그릇 한가운데에 가지런하게 세워서 놓아두어야 한다. 그리고, 젓가락을 사용방법에도 아래에 언급하는 10가지정도의 금기가 있다.

 

1. 삼장양단(三長兩短) 

 

이 것은 식사전 또는 식사중에 젓가락을 길이가 가지런하지 않게 식탁위에 놓아두는 것을 말한다. 이런 것은 아주 불길한 것으로 생각한다. 통상적으로 중국에서는 이것은 "삼장양단"이라고 한다. 삼장양단은 "사망"을 의미하는 것이다. 왜냐하면 중국인은 과거에 사람이 죽은 후에는 관에 집어넣는데, 시체를 관에 집어넣을 때, 덮개를 아직 덮지 않았을 때, 관의 구성부분은 앞뒤의 짧은 나무판과 양측 및 아래의 세개의 긴 나무판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다섯개의 나무판을 합하여 관을 짜게 되므로 삼장양단이라는 용어가 나온 것이다. 그래서 이것은 아주 불길한 것이라고 생각하게 된 것이다.

 

2. 망인지로(忙人指路)

 

이 방법은 엄지손가락, 중지, 무명지, 새끼손가락으로 젓가락을 집으며, 식지를 펴서 내미는 것이다. 이런 방식은 다른 사람들이 아주 싫어하는 방식이다. 북경사람들의 눈에는 이것을 "마구잡이로 욕"하는 것으로 느낀다. 왜냐하면 식사하면서 식지를 내미는 것은 계속하여 다른 사람을 가리키게 되는데, 북경사람들은 식지를 내밀어서 상대방을 가리킨다는 것은 대부분 질책하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식사하면서 젓가락을 쓸 때 손가락으로 사람을 가리키는 것은 다른 사람을 질책하는 것과 같고, 욕하는 것과 같이 보는 것이다. 그래서 허락될 수 없는 것이다. 또 하나 이와 동일한 의미를 지니는 것이 있는데, 그것은 바로 식사하면서 젓가락으로 상대방을 가리키는 것이다.

 

3. 품저유성(品箸留聲)

 

이 방식은 젓가락을 입에 넣고 입으로 왕복하여 빨면서....쓰쓰 하는 소리를 계속 내는 것이다. 이 것도 해서는 안된다. 이것은 조금은 천한 행위로 인정된다. 식사하면서 입으로 젓가락을 빠는 것 자체가 우선 예의가 없는 일인데, 여기에 소리까지 나게 한다는 것은 정말 역겨운 것이다. 그래서 일반적으로 이런 방식으로 식사를 하면, 집안교육이 제대로 되어 있지 않다고 생각하는 것이다.

 

4. 격잔고종(擊盞敲盅)

 

이 방식은 식사시 젓가락으로 접시나 그릇을 두드리는 것이다. 이런 행위는 거지가 밥을 구걸할 때 하는 행위로 취급된다. 왜냐하면 과거에 구걸하는 때에나 비로소 젓가락으로 밥그릇을 두드렸던 것이다. 그 소리와 애절한 소리가 합쳐서 사람들의 주의를 쉽게 끌고 밥을 얻어먹을 수 있었던 것이다. 이런 행위는 매우 천한 행위로 취급된다. 그래서 다른 사람들이 싫어한다.

 

5. 집저순성(執箸巡城)

 

이 방식은 손으로 젓가락을 들고, 방약무인하게 젓가락을 탁자위의 여러 음식들을 왔다갔다하면서 집을 것을 찾으면서 어느 것을 집으면 좋을지 찾는 것을 말한다.  이런 행위는 전형적으로 교양이 부족한 행위로 취급되고 안중무인적인 행위는 다른 사람의 반감을 불러일으킨다.

 

6. 미저포분(迷箸刨墳)

 

이것은 손으로 젓가락을 쥐고 요리접시속에서 젓가락으로 휘저으면서 사냥감을 찾는 것을 말한다. 마치 도굴군이 묘를 파는 것과 같다. 이런 방식은 미저순성과 비슷하며, 마찬가지로 교양이 없는 행위로 취급되고, 다른 사람들이 싫어하는 행위이다.

 

7. 누저유주(淚箸遺珠)

 

실제적으로 이것은 젓가락으로 요리를 집어 자기 개인접시로 옮길 때, 손을 잘 놀리지 못해서, 요리나 음식을 다른 요리나 식탁위에 떨어뜨리는 것을 말한다. 이런 것도 큰 실례로 취급되고 마찬가지로 저질러서는 안되는 일로 취급된다.

 

8. 전도쾌자(顚倒筷子)

 

이것은 식사할 때, 젓가락을 거꾸로 사용하는 것을 말한다. 이런 방식은 다른 사람들이 아주 멸시하는 행위이다. 바로 배고파서 먹을 것을 가리지 않는다는 것이고, 체면을 전혀 돌보지 않는 것이다. 젓가락을 거꾸로 써서는 절대 안된다.

 

9. 정해신침(定海神針)

 

식사시에 하나의 젓가락을 접시의 요리를 꽂는 것이고, 이것도 안된다. 이것은 같은 식탁에서 식사를 하는 사람들에 대한 일종의 치욕을 안기는 것이 된다. 식사때 이런 행동을 한다는 것은 서구사람들이 가운데 손가락을 내미는 것과 마찬가지로 절대 해서는 안되는 것이다.

 

10. 당중상향(當衆上香)

 

자주 좋은 뜻으로 다른 사람을 위해서 밥을 퍼줄 때, 상대방보고 편하라고, 밥위에 젓가락 한쌍을 꽂아서 상대방에게 건네주는 경우가 있다. 이것은 아주 불경한 행위로 취급된다. 왜냐하면 북경의 전통은 죽은 사람에게 제사지낼 때에나 이렇게 하기 때문이다. 만일 젓가락 한쌍을 밥에 꽂는다면, 죽은 사람에게 제사지낸다는 것과 같은 의미가 된다. 그래서 이렇게 해서는 절대 안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