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과 사회701 중국농민의 어깨를 짓누르는 세가지 문제 작자: 文建平 토지, 질병과 양로의 문제는 농민의 어깨를 짓누르는 세가지 큰 돌덩어리이다. 수천년동안 농민은 계속 자기의 토지를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1950년대이후부터는 인민공사운동이 대대적으로 벌어지고 농민의 토지는 박탈되어 국유로 되었다. 이로써 농민은 토지를 상실했다. 인민공사.. 2006. 6. 13. 호북성의 약칭은 악(鄂)보다 초(楚)가 적당한가? 호북성의 약칭은 악(鄂)이다. 약칭을 초(楚)로 하지 못한 것은 여러가지 이유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즉, 초나라의 강역이 너무 넓어, 중심지는 호북성이었지만, 호남성도 초나라의 옛땅이므로, 초라는 명칭보다 호북성의 명칭으로 악을 사용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호북성에서는 호북성의 약.. 2006. 6. 5. 중국 도시의 별칭 광주(廣州) - 양성(羊城) 곤명(昆明) - 춘성(春城) 제남(濟南) - 천성(泉城), 역성(歷城) 중경(重慶) - 산성(山城), 무도(霧都) 성도(成都) - 용성(蓉城), 금성(錦城) 무한(武漢) - 강성(江城) 상해(上海) - 송호(淞滬) 승덕(承德) - 열하(熱河) 조주(潮州) - 봉성(鳳城) 서주(徐州) - 팽성(彭城) 대동(大同) - 평.. 2006. 5. 10. 중국 도시의 약칭 - 영파(寧波) : 용(甬) - 광주(廣州) : 수(穗) - 성도(成都) : 용(蓉) - 귀양(貴陽) : 축(築) - 남경(南京) : 녕(寧) - 구강(九江) : 심(潯) - 남녕(南寧) : 옹(邕) - 복주(福州) : 용(榕) - 합비(合肥) : 환(皖) - 개봉(開封) : 변(汴) - 장사(長沙) : 상(湘) - 삼아(三亞) : 애(崖) - 해구(海口) : 경(瓊) - 태.. 2006. 5. 10. 중국고대의 9가지 독약 1. 단장초(斷腸草) 단장초는 원래 등나무과의 식물인 호만등이며, 기록에 의하면 단장초의 독성물질을 먹으면 창자가 검게 되고 달라붙어 사람이 복통을 느끼면서 죽는다고 한다. 일반적인 해독방법은 우선 위를 씻어내는 것인데, 탄회를 마시고, 소금물과 구토제를 써서 위를 씻고,그 후에 녹두, 금은.. 2006. 5. 4. 어느 네티즌의 중국명문대학 평가 청화대학 : 공학 최고, 모든 공과가 다 뛰어남. 공학실력은 이등에 비하여 아주 앞서 있음. 북경대학 : 종합류 최고. 문과, 이과, 의과가 모두 최고. 중국과기대학 : 전형적인 고급,정예,첨단대학. 학풍이 바르고, 함부로 학위를 주지 않음. 중국협화대학 : 의과의 성전. 병원에 가면 모두 협화를 찾음. 국.. 2006. 5. 4. 이전 1 ··· 107 108 109 110 111 112 113 ··· 1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