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중국과 문화/중국의 풍속50

중국고대 여인의 4가지 헤어스타일 글: 예방육(倪方六) 사료와 고고학발견으로 보면, 고대여성은 헤어스타일에 아주 신경을 많이 썼다. 그래서 적지 않은 유행하는 헤어스타일을 발명한다. 그중 "피발(披髮, 산발)", "단발(斷髮)", "변발(辮髮, 땋은 머리)", "계발(髻髮, 상투머리)"의 네 가지가 가장 유명하다. 이를 중국.. 2015. 2. 10.
중국고대에 아이의 이름을 어떻게 지어주었는가? 글: 예방육(倪方六) 새학기가 시작되었다. 많은 새로운 얼굴들이 나타난다. 과거에 아이들이 학문을 시작할 때면 모두 정식이름을 지어주었다. 소위 "학명(學名)"이다. 현대와 비교하면, 옛사람들이 이름을 짓는데는 규칙이 있었다. 송나라이후에는 틀에 박히게 되었다. 다만 각각의 시대.. 2014. 10. 2.
조공명(趙公明): 중국의 재신(財神) 글: 유계흥(劉繼興) <모택동선집. 중국사회각계급의 분석>이라는 글에 이런 말이 나온다: "이런 사람들의 발재관(發財觀)은 아주 중하다. 조공원수(趙公元帥)를 가장 부지런히 모신다." 주석에는 이렇게 적혀 있다: "조공원수는 중국민간전설의 재신으로 조공명이라 한다." <노신전.. 2014. 1. 29.
중국고대의 식사와 바지의 관계 글: 이개주(李開周) 중국인의 식사습관은 3가지 번혁을 겪었다. 아주 오랜 옛날에, 중국의 조상들은 식사때 분찬제(分餐制)를 취했다. 양식을 먹거나 일식을 먹을 때처럼 각자 자신의 것을 먹었다. 나중에 공찬제(共餐制)로 바뀌어 함께 나눠먹는 것으로 바뀐다. 아주 오랜 옛날에, 중국의 .. 2013. 9. 15.
하지(夏至)의 유래 글: 노장명수(魯章明秀) 하지는 이십사절기중 가장 먼저 확정된 절기이다. 기원전7세기, 선인들은 토규(土圭)로 해의 그림자(日影)를 측정했고, 하지를 확정한다. 매년의 하지는 6월 21일(혹은 22일)부터 시작하여 7월 7일(혹은 8일)에 끝난다. <각준헌도초본>에 따르면, "일북지(日北至), .. 2013. 6. 27.
중국고대기녀의 금분세수(金盆洗手) 글: 상한(桑寒) 중국에 이런 말이 있다. 정녀실절불여노기종량(貞女失節不如老妓從良). 기녀들도 진취심은 있고, 좋은 사람을 만나서 시집기려는 생각이 있다. 기실 많은 기녀들은 스스로 원해서 몸을 파는 장사를 한 것이 아니다. 많은 사람들은 생활과 운명에 몰려서 어쩔 수 없이 그렇.. 2013. 4.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