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중국과 문화/중국의 풍속50

잉어: 중국인의 물고기토템 글: 홍촉(洪燭) 중국인의 년야반(年夜飯에는 집집마다 물고기 한 마리를 요리해서 올리고, 명절이 지난 후에 먹는다. "어(魚, Yu)"와 "여(餘, Yu)"의 발음이 같다는 데서 "년년유여(年年有餘, 해마다 풍족하여 모자라지 않는다는 의미)"를 상징한다. 이 물고기는 반드시 온전해야 하고, 머리와 꼬리가 다 있.. 2011. 2. 1.
지금도 남아있는 3가지 중국고대민간의 설날풍속 글: 월초(越楚) 중국전통의 음력설날은 옛날에 원단(元旦), 원일(元日), 원신(元辰), 원삭(元朔), 정원(正元), 정단(正旦)등으로 불리웠다. 신해혁명(1911년)때 "춘절(春節)"로 이름을 바꾸었다. 민간에서는 "과년(過年)", "과대년(過大年)"이라고 부르고 있다. 음력 섣달그믐날(大年三十)은 옛날에 "제석(除夕.. 2011. 1. 28.
단오(端午)의 기원은 굴원(屈原)과 무관하다. 글: 곽찬금(郭燦金) 단오는 음력 오월오일이며, 중국의 중요한 명절 중 하나이다. 널리 알려진 이야기는, 굴원이 단오절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다는 것이다 전국(戰國)시대, 초(楚)나라의 좌도(左徒)인 굴원은 초회왕(楚懷王)의 신임을 받았지만, 동료인 상관대부의 질시를 받았다. 상관대부는 여러가지 .. 2010. 6. 13.
결혼보증금의 새로운 풍속 글: 왕영도(汪永濤) 강서성 사회과학원 조리연구원 최근 십여년동안, 강서성 모현의 농촌지구에서는 처를 구할 때 먼저 "보증금"을 지급하는 것이 유행하고 있다. 이 보증금은 결혼지참금과는 다르다. 농촌의 아이들은 일반적으로 중학교를 졸업하면 외지로 나가서 일을 한다. 18살이 되어 고향으로 와.. 2009. 12. 30.
중국 고대의 '이혼'에 관하여 글: 해활천공 '이혼'이라는 단어는 현대 각국법률에서 통일적으로 사용하는 용어이다. '이혼'은 일종의 제도이고, 발생과 발전의 역사를 지니고 있다. 이혼제도는 혼인제도의 중요한 구성부분이다. 이혼제도와 혼인제도는 동시에 탄생하여 사회의 발전변화에 따라 발전변화했다. 중국고대에 혼인시스.. 2009. 12. 24.
중양절(重陽節)과 홀수에 대한 금기 글: 유엽원(劉曄原) 고대에는 생산력이 낮았고, 사람의 생명력도 아주 취약했으며, 인식능력도 제한적이었다. 그저 편면적이거나 부분적인 경험을 축적한 것이 소위 지식이었다. 만일 어떤 일이 중복된다면, 그것을 규율로 인식하고, 이런 규율은 생활에서 사람들에게 금기 혹은 규범으로 작용하게 된.. 2009. 10. 26.
중국인의 홍색(紅色) 숭배 글: 양발불(梁發芾) 진시황은 오행중 수덕(水德)이라고 생각하여 흑색(黑色)을 숭상했다. 진시황이 입었던 옷은 모두 흑색이었다. 한나라는 화덕(火德)에 속한다고 생각하여 홍색(紅色)을 숭상했다. 현재, 한나라가 홍색을 숭상한 것이 중국인의 문화에 얼마나 큰 영향을 끼쳤는지는 알 수가 없.. 2009. 9. 25.
중국인은 의자에 앉고, 한국, 일본인은 바닥에 앉는 이유는? 글: 유앙(劉仰) "상전명월광, 의시지상상(床前明月光, 疑是地上霜)" 여러해전에 이 싯구에 나오는 "상(床)"이 도대체 무엇인가를 두고 논쟁이 벌어진 적이 있다. 이 상(床)이 우물의 난간이고, 잠자는 침상이 아니라고 주장한 사람이 있었다. 나중에 또 어떤 사람은 이 "상"이 절첩등(折疊凳, 접이식 의자).. 2009. 9. 21.
중국의 삼대바보: 주식투자자, 방노(房奴) 그리고 주귀(酒鬼) 글: 안가(安哥) 처음으로 <<원스 어폰 어 타임 인 아메리카>>(중국에서는 美國往事 혹은 義薄雲天으로 번역하였음)를 보았을 때, 소녀 데보라가 얼굴에 분을 바르고 먼지가 가득한 창고에서 춤을 추기 시작할 때의 그 눈빛은 순식간이 벽의 구멍으로 훔쳐보던 소년 "누들스"를 감전시킨다. 그 .. 2009. 8. 6.
민이식위천(民以食爲天) 글: 유앙(劉仰) 백성은 먹는 것을 하늘로 삼는다(民以食爲天)는 말은 중국의 오래된 속담이다. 먹은 것은 백성의 가장 중요한 생활내용이면서, 정부의 중요한 직책이다. 잘 먹는 문제를 해결하는 것, 민생문제는 바로 안정적인 기초를 의미한다. 먹는 문제가 골치아파지면, 바로 일련의 골치거리가 나.. 2008. 11.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