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중국과 문화/중국의 음식39

유기농제품이 반드시 건강제품인가? 글: 방주자(方舟子) 중국에서 식품안전문제가 빈발하고 있고, 인심이 흉흉해지니, "순자연, 건강, 무오염"을 표방하는 유기농식품이 가격에서 일반제품보다 몇배나 비싸지만, 사람들을 안심시키게 되어, 갈수록 시장을 넓혀가고 있다. 국가표준에 따르면, 유기농제품이라 함은 전.. 2011. 12. 28.
만한전석(滿漢全席): 궁중에서 민간으로 글: 홍촉(洪燭) 만한전석은 청나라를 생각나게 한다. 부귀에서 부패로 넘어간 그 왕조를. 청나라는 산해관을 넘어들어오기 전까지 아주 소박했다고 한다. 소위 궁정연회로 아주 평민적이었다. 그저 노천에 짐승가죽을 깔고 여러 명이 고기를 삶은 냄비를 둘러싸고 다리를 꼬고 앉아서 먹는 것이다. 요.. 2011. 2. 23.
교자(餃子)의 유래 글: 유계흥(劉繼興) 교자(餃子, 우리나라에서는 '만두'라고 일반적으로 불리는데, 중국에서는 만두속이 있는 것은 교자, 만두속이 없는 것은 만두로 구분해서 부름)의 역사상 최초의 이름은 "교이(嬌耳)"이다. 현대인들이 좋아하는 이 음식을 만든 사람은 의성(醫聖)으로 불리는 장중경(張仲景)이다. 그.. 2009. 12. 23.
중국음식문화의 원죄 글: 홍촉(洪燭) 중국인의 용감성은 특히 음식방면에서 드러난다. 중국인은 거의 뭐든지 다 먹은 민족이라는 것이다. 기근때는 나무껍질, 야채 심지어 관음토(觀音土)까지 먹는데, 이것은 어쩔 수 없는 것이라고 치부할 수 있다(장정때 해방군은 쇠가죽 허리띠를 풀어서 탕을 끓여 먹었다). 평화시대에.. 2009. 8. 2.
청나라의 만한전석(滿漢全席) 글: 장계합(張繼合) "만한전석"은 요즘 모르는 사람이 없을 것이다. 비록 직접 맛본 사람은 많지 않겠지만, 여러가지 민간의 전설은 너무나 생생하게 전해지고 있다. 전통 상성(相聲, 2명이 하는 만담)에서 먹는 것에 관한 "관구아(慣口兒)" <<채보명(菜譜名)>>에서는 만한전석의 요리들을 하나하.. 2009. 6. 9.
백해무익한 샥스핀요리 글: 방주자(方舟子) 금년의 춘절만회(春節晩會)에 조본산의 소품 <<불차전(不差錢)>>을 보면 이런 대화가 있다: 필복검: 샥스핀(魚翅)은 시키지 말라. 조본산: 있어도 먹지 말라. 나는 샥스핀을 먹다가 한번은 목구멍에 걸린 적이 있는데, 결국 병원에 가서 집게로 끄집어냈다. 이 대화는 당연히 .. 2009. 3.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