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중국과 문화/중국의 음식

교자(餃子)의 유래

by 중은우시 2009. 12. 23.

글: 유계흥(劉繼興)

 

교자(餃子, 우리나라에서는 '만두'라고 일반적으로 불리는데, 중국에서는 만두속이 있는 것은 교자, 만두속이 없는 것은 만두로 구분해서 부름)의 역사상 최초의 이름은 "교이(嬌耳)"이다.

 

현대인들이 좋아하는 이 음식을 만든 사람은 의성(醫聖)으로 불리는 장중경(張仲景)이다. 그의 "거한교이탕(寒嬌耳湯)"에 얽힌 이야기는 민간에서 지금까지 전해져 오고 있다. 장중경은 동한(東漢) 시기의 하남성 남양 사람이다. 어려서부터 의학서를 공부하여 여러 서적의 장점을 모아서, 중의학의 기초를 놓는 사람이 된다. 그의 저서 <<상한잡병론(傷寒雜病論)>>은 의학을 집대성한 것으로서 후대의 의원들에게 경전으로 모셔진다. 이는 중국에서 처음으로 이론에서 실천까지 치료법칙을 확립한 의학전문서적이다. 이는 중국의학사상 가장 영향력이 큰 저작중 하나이다. 장중경이 한 말중에 유명한 말이 있다: '나아가면 세상을 구하고, 물러나면 백성을 구한다; 좋은 재상이 될 수 없으면 좋은 의원이 된다" 장중경은 의술이 뛰어나서, 무슨 불치 난치병도 그의 손이 닿으면 나았을 뿐아니라, 인품이 고상했다. 부자이건 가난뱅이이건 그는 모두 열심히 치료해주었고, 수많은 생명을 구한다. 그리하여 그는 "의중지성, 방중지조(醫中之聖, 方中之祖)"로 불리게 된다.

 

장중경이 살았던 시대는 동한말기로서 계속되는 전란으로 백성들이 생업인 농사를 버리고, 도시와 전답이 황야로 바뀌었고, 사람들은 사방으로 유랑했으며, 배고픔과 추위에 떨었다. 각지역에서는 연이어 전염병이 발병했는데, 특히 낙양, 남양, 회계(소흥)은 전염병이 심각했다. 전해지는 바로는 장중경이 장사태수(長沙太守)를 지낼 때, 백성들의 질병을 많이 치료해주었다. 한 해는 현지에 전염병이 돌았는데, 그는 아문(衙門) 입구에 큰 솥을 걸어놓고 약을 달여서 사람을 구했다. 그리하여 장사의 인민들이 그를 추앙했다. 장중경이 장사에서 나이가 들어 관직을 그만두고 고향으로 돌아오는데, 그 날이 마침 동지(冬至)였다. 고향으로 돌아가니 많은 가난한 백성들이 추위와 배고픔에 떨고 있었다. 귀까지 동상에 걸렸다. 원래 당시에는 상한이 유행하여, 병사하는 사람이 아주 많았다. 그는 마음이 아팠다. 그들을 구해주기로 결심한다. 장중경이 집으로 돌아가니, 치료해달라고 찾아오는 사람이 많아서 시간을 내기 힘들었다. 그는 마음 속으로는 항상 귀동상에 걸린 가난한 백성들을 생각했다. 그는 장사에서의 방법을 이용하여, 제자로 하여금 남양 동관의 빈 땅에 가건물을 짓게 하고, 큰 솥을 걸게 한다. 동지날부터 가난한 사람들에게 약을 나눠주어 치료해주었다.

 

장중경이 만든 이 특수한 약물은 바로 "거한교이탕"이라고 불렀다. 한나라 300년간의 임상경험을 바탕으로 만든 것인데, 만드는 방법은 양고기, 고추와 일부 한기를 몰아내는 약재를 솥에 넣고 끓인다. 잘 끓인 후에는 다시 이것들을 건져내서 잘게 자른다. 다음에 면으로 만든 피로 귀모양으로 싸며, "교이(嬌耳)"라고 불렀따. 이것을 솥에 넣고 익힌 다음에 병자들에게 나눠주어 먹게 한 것이다. 한 사람당 2개의 교이와 1그릇의 탕을 나눠주었다. 사람들은 이 거한교이탕을 먹고 나면 온 몸에서 열이 나고, 혈액이 잘 순환되었으며, 두 귀가 따뜻하게 바뀌었다. 백성들은 동지때부터 제석(除夕)까지 먹으면 상한에 걸리지 않고, 동상에 걸린 귀가 낫게 되었따.

 

장중경은 연말까지 계속 나눠주었다. 설날이 되어, 사람들이 새해를 축하할 때, 그들은 동시에 동상에 걸렸던 귀의 건강을 위하여도 축하했다. 그리하여, 교이(嬌耳)를 닮은 모양으로 설날을 맞이하는 음식을 만들어, 설날에 같이 먹었다. 사람들은 이 음식을 "교이(餃耳)", "교자(餃子)", "편식(扁食)"이라고 불렀다. 동지때부터 설날까지 먹었다. 이를 통해서 장중경이 약을 나눠주고 병자를 치료해준 날을 기념한 것이다. 지금도 남양에는 "동지때 교자그릇을 올리지 않으면, 귀에 동상이 걸려도 아무도 신경쓰지 않는다"는 민요가 전해진다.

 

교자가 세상에 나타난 것은 지금으로부터 이미 1800년전의 일이다. 일찌기 삼국시대에 위장읍이 쓴 <<광아(廣雅)>>라는 책에서도 이 음식을 언급하고 있다. 그러나 그때이 교자는 익힌 후에 건져내서 단독으로 먹는 것이 아니라, 탕과 함께 그릇에 담아서 같이 먹었따. 당나라때가 되어서, 교자는 이미 현재의 교자와 거의 같아진다. 그리고 건져내서 접시에 담아서 단독으로 먹었다. 당나라때의 교자는 '뇌환(牢丸)' 이라고 불렀고, 수교(水餃, 물만두)는 "탕중뇌환(湯中牢丸)"이라고 불렀다. 증교(蒸餃, 찐만두)는 "농상뇌환(籠上牢丸)"이라고 부른다. 개략 송나라이전까지는 모두 이 명칭을 사용했다. 송나라이후, 부르는 명칭이 비교적 어지러워진다. "분각(粉角)", "편식" "수각(水角)", "교아(餃兒)", "수점심(水點心)", "자발발(煮)"등으로 불린다. 명나라 만력년간에 심방이 쓴 <<완서잡기>>의 기록에 따르면, '원단에 새해인사를 하고 편식을 만든다"고 썼다. 유약우의 <<작중지>>에는 "초하루 설날에 과일 음식을 먹는데 바로 편식이다." 이러한 음식을 통칭하여 "교자"라고 부르게 된 것은 개략 청나라말기 민국초기의 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