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중국과 문화/중국의 사상62

오행(五行)과 사상(四象): 중국은 왜 오행을 선택했을까? 글: 주주천당(走走天堂) 물질구성기초를 인식하는데 있어서, 동양과 서양은 서로 전혀 다른 견해를 가지고 있다. 동방문화 특히 중국은 극력 "금목수화토(金木水火土)"의 오행론을 숭상했다. 그리고 오행의 이론을 중의(中醫), 역법(歷法), 윤리(倫理)등 사회 각방면으로 적용시켰고, 삼교.. 2016. 3. 10.
중국전통문화의 변증법적 사고 글: 축화군(祝和軍) 민족문화의 독특성과 우월성은 드러나는 세계관과 가치관에서 체현될 뿐아니라, 숨어있는 사고방식에도 뿌리박고 있다. 인류문명의 진전에서, 중화문명이 인류고대문명중 유일하게 지금까지 연속되는 문명이 된 이유는 많은 정도에서 중국인의 문제사고의 방식과 .. 2014. 4. 29.
국학(國學), 국수(國粹)와 국사(國史)의 진상 글: 주대가(朱大可) 20세기에 들어온 이래, 중국인은 전후로 3가지 역사서술방식을 접하게 된다: 첫번째는 호적, 노신 및 진독수의 "신문화"방식이다. 그것은 "공가점을 타도자하"는 격렬한 구호를 내걸고, 역사전통을 부정하는 굳건한 신념을 드러낸다. 비록 그후 호적은 중대한 조정을 거.. 2013. 11. 30.
복비죄(腹誹罪)와 언론의 자유 글: 후홍빈(侯虹斌) <예기.왕제>에는 4가지 마땅히 주살해야할 언론죄를 규정하고 있다: "석언파율(析言破律), 난명개작(亂名改作), 집좌도이난정(執左道以亂政), 살(殺)" "작음성(作淫聲), 이복(異服), 기기(奇技), 기기이의중(寄器以疑衆), 살(殺)" "행위이간(行僞而奸), 언위이변(言僞而.. 2013. 9. 15.
<논어>에는 왜 "고(苦)"자가 없을까? 글: 정계진(丁啓陣) 유가학자들이 사람들에게 주는 인상은 마치 도모안연(道貌岸然, 근엄한 표정을 하고 있거나), 정금위좌(正襟危坐, 옷깃을 여미고 정좌해 있거나)한 것이다. 그러나 실제로 유가학설의 초창기에는 그들도 천진하고 순박한 일면이 있었다. 예를 들어, 인생에서 쾌락을 .. 2013. 6. 10.
"유여자여소인난양야(唯女子與小人難養也)에 대한 8가지 해석 글: zhangzhijun "유여자여소인난양야"라는 문구는 &lt;논어.양화&gt;에 나온다. 역대이래로 공자의 여자들에 대한 차별로 보았다. 그런데 이 문구에 대한 이해는 최근 들어 여러가지 해석이 있다. 그런 해석은 대체로 아래와 같은 8가지이다. 첫번째 견해: 즉 가장 널리 알려진 견해로, 그들은 ".. 2013. 5.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