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중국과 문학299

진세미(陳世美)와 진향련(秦香蓮) 중국의 희극무대에서 쉬지 않고 공연되는 것은 <<찰미안([金+則]美案)>>또는 <<진향련(秦香蓮)>>이라고 불리우는 극이다. 이 극에서 진세미(陳世美)는 "다른 여자를 보면 마음이 바뀌고, 배은망덕한(見異思遷, 忘恩負義)" 사람의 대명사가 되었다. 그래서 사람들은 어떤 남.. 2007. 6. 11.
유영(柳永) : 우림령(雨霖鈴) 한선처절, 대장정만, 취우초헐(寒蟬凄切, 對長亭晩, 驟雨初歇) 도문장음무서, 유련처, 난주최발(都門帳飮無緖, 留戀處, 蘭舟催發) 집수상간루안, 경무어응열(執手相看淚眼, 竟無語凝噎) 염거거천리연파, 모애침침초천활(念去去千里煙波, 暮靄沉沉楚天闊) 다정자고상리별, 경나감.. 2007. 5. 16.
원문보다 멋있는 번역 중국의 국학대가인 왕국유(王國維)의 <<홍루몽평론>>에 나오는 영문시의 중문번역입니다. [영문시원문] Ye wise men, highly, deeply learned, Who think it out and know, How, when and where do all things pair? Why do they kiss and love? Ye men of lofty wisdom, say What happened to me then, Search out and tell me where, how, when, And why it happened th.. 2007. 5. 13.
송강(宋江)이 급사하였다면, 누가 양산박의 두목이 되었을까? 글: 살소(薩蘇) 하늘의 풍운은 예측이 힘들다. 만일 양산박에 돌연 고구려 또는 여진의 폭도가 숨어들어와서 송강 두목을 죽여버렸다고 치자. 그렇다면, 왕륜(王倫), 조개(晁蓋), 송강(宋江)의 뒤를 이어, 누가 양산박의 제4대 두목이 되었을까? 어떤 사람은 노준의(盧俊義), 시진(柴進), 임충(林沖), 무송(.. 2007. 5. 7.
역근경(易筋經)은 달마대사의 작품인가? 글: 소쟁(蘇爭), 문천청(門天淸) 의식적이든 아니든간에 김용선생은 잘못을 하나 범했다. 그의 <<천룡팔부>>에서 무림보물인 <<역근경>>은 소림사의 "가전지보"이며, 이로 인하여 무림에 피바람이 불게 되었다고 적었다. 그러나, <<역근경>>은 과연 달마대사가 쓴 .. 2007. 4. 24.
설보채의 숙녀이미지 배후의 진상 글 : 소금(蘇芩) 일반독자의 눈에 설보채(薛寶釵)는 홍루몽의 제일 숙녀이고, 박학하며 도량이 넓고, 고귀하며, 여러 꽃들중의 여왕인 모란에 해당한다. 그리고 성격도 아주 부드럽고, 성숙되었으며 예의를 알아, 임대옥과 같은 무리와 같이 철없는 여자아이가 아니었다. 그래서, 설보채는 <<홍루몽.. 2007. 4.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