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중국과 문학299

무협물리(1): "전대수(轉大樹)" 글: 이개주(李開周) <옹정검협도(雍正劍俠圖)>의 남자주인공 동림(童林)은 사람들과 비무(比武)를 할 때 자주, '전대수'라는 초식의 쿵후를 시전한다. 이 쿵푸틑 말하기는 간단하다. 즉 사람을 두고 빙글 도는 것이다. 다만 돌아가는 속도가 아주 빠르다. 동림은 몸이 번쩍하면 슈슉.. 2014. 5. 30.
<삼국연의>는 "존유폄조(尊劉貶曹)"인가? 글: 조종국(曹宗國) 역대이래로 논자들은 &lt;삼국연의&gt;에 '존유폄조'의 경향이 있다고 말해왔다. 필자는 기실 이것은 나관중을 오해한 것이라고 생각한다. 나관중은 확실히 유씨 한왕조의 정통관념을 떠받들었다. 다만 유비를 정통이라고 보지는 않았다. 오히려 가짜정통의 전형으로 .. 2014. 5. 30.
요재지이: 연애와 혼인 글: 독서삼매(讀書三昧) 연애와 혼인은 포송령이 &lt;요재지이&gt;에서 나타내고자 하는 중요한 하나의 주제이다. 그중에 &lt;풍목장(馮木匠)&gt;이라는 글이 있는데, 이것은 한 계정(鷄精)이 소녀로 변신하여, 풍씨성의 목장(목수)를 사랑한 이야기이다. 그녀는 주도적으로 이 풍목장을 찾아.. 2014. 4. 4.
반금련(潘金蓮)의 분투사 글: 철학서유(哲學西遊) 모든 사람은 태어나면서부터 아주 우월한 사회자원을 갖지 않는 한, 그가 가장 먼저 해야할 일은 자신의 시회적 지위를 바꾸어, 자신이 만족할만한 사회적집단과 계층으로 들어가는 것이다. 이를 통하여 자아가치의 실현을 극대화하는 것이다. 어떤 사람은 태어.. 2014. 1. 14.
요재지이(요聊齋誌異): 정진이망(精盡而亡)에 관한 이야기 글: 철학서유(哲學西遊) 남자가 정력이 다해서 죽는다(精盡而亡)는 것은 현대과학에서 거짓으로 밝혀졌다. 기본적으로는 고대에 남자들에게 성행위를 절제하라는 과장된 말에 불과하다. 또한 고전소설에서 끊임없이 반복되어 사용한 스토리이기도 하다. &lt;요재지이&gt;도 그 속틀을 벗.. 2014. 1. 14.
홍루몽은 어떻게 중국제일명저로 되었는가? 글: 주가웅(朱家雄) "사대명저(四大名著)"는 오늘날 중국인들에게는 귀에 딱지가 앉을 정도로 들은 말이다. &lt;삼국연의&gt;, &lt;수호전&gt;, &lt;서유기&gt;, &lt;홍루몽&gt;(책이 만들어진 순서)의 이 4권의 거작은 중국백성들이 가장 잘 알고 있는 소설이며, 방대한 독자층을 형성하고 있을 뿐.. 2013. 12.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