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제68 이임보(李林甫)는 간신인가? 글: 독서삼매(讀書三昧) 이임보는 간신인가? 황제시대에 황제는 개인기업의 오너와 같다. 황제 수하의 대신은 일인지하 만인지상의 재상이라 하더라도, 역시 황제를 위하여 일하는 머슴이다. 그래서, 황제의 눈에, 신하를 간(奸)과 불간(不奸)으로 구분하지 않는다. 그저 충(忠)과 불충(不.. 2017. 1. 29. 삼황오제(三皇五帝)의 삼황(三皇)은 누구를 가리키는가? 글: 정정(丁丁) 중국역사상 "삼황오제"의 전설이 전해져 내려온다. 그러나 이들이 누구를 가리키는지에 대하여는 정설이 없고 각양각색의 견해가 난무한다. 그러나 두 가지는 확실하다. 첫째, "삼황오제"는 중국역사상 위대한 인물이고, 중화민족발전의 창시자적인 인물이며 중화민족의 .. 2016. 8. 14. 마지막황후 완용의 사생아 수수께끼 글: 사소우(史小雨) 황후 완용은 1922년에 부의에게 시집을 간다. 오랫동안 그녀는 자신이 정신적 육체적으로 모두 부의에게 버림받았다고 느낀다. 우울하고 고독한 가운데 그녀는 점점 아편이 가져다주는 환각에 빠지게 된다. 시간이 흐를수록 그녀의 아편중독은 심해진다. 이때의 그녀.. 2016. 1. 10. [황자쟁위술] 교식위현술(矯飾僞賢術) – 각수예제패(恪守禮制牌) 중국고대에는 황제만이 쓸 수 있는 것들을 규정해두고 있었다. 예를 들어, 황금색 기와는 황제가 거처하는 황궁, 사찰, 능묘등의 건축물에만 쓸 수 있었다. 그리하여, ‘왕’에 불과한 조선왕궁에는 황금색 기와를 볼 수 없다. 그리고, 붉은색 글씨(朱批)도 황제만이 쓸 수 있다. 상소문이 .. 2015. 8. 4. 서태후는 왜 "노불야(老佛爺)"라고 불리웠는가? 글: 중천비홍(中天飛鴻) "노불야"는 남성황제에 대한 칭호이다. 그리고 청나라의 역대황제는 모두 특별히 '노불야'라고 칭해졌다. 그러나, 서태후도 "노불야"라고 칭해지지 않았는가? 서태후는 비록 황태후이기는 하지만 어쨌든 여류이다. 그런데 왜 청나라의 조야 상하에서는 모두 그녀.. 2015. 2. 10. 원세개 대총통 즉위식의 3가지 불상사 글: 장문서(張文瑞) 후의(侯毅)의 <홍헌구문>에 따르면, "항성취임비문(項城就任秘聞)"이라는 글이 한 편 실려 있다. 여기에는 민국2년(1913년) 10월 10일 원세개가 제1대 민국대총통에 취임하는 취임식에 일어난 3가지 불상사를 기술하고 있다. 이 글은 후의가 그해 12월에 쓴 것이다. 10월.. 2014. 8. 26. 이전 1 2 3 4 5 6 ··· 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