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황제68

당나라 7명의 황제가 황후를 두지 않은 이유는? 글: 노군후(老君猴) 취처납첩(娶妻納妾)은 황제의 궁정생활에서 정상적인 현상이다. 황후는 황제의 정처(正妻)로서 후궁의 여러 비빈들의 주인이고, 황제에 가장 가까운 사람이다. 그 영향력으로 보면 절반의 황제라고 말할 수 있다. 황제에게 몇 명의 부인. 비빈, 세부(世婦), 어녀(御.. 2014. 1. 29.
김정은에게 남은 시간은 많지 않다. 글: 호각조(胡覺照) 전제사회에서 황권이 지고무상인 이유는 군권(軍權)이 지탱해주기 때문이다. 수중에 군대가 있으므로 황제라는 조폭두목의 자리는 흔들리지 않는 것이다. 군권이 지탱해주지 않는다면 황권의 가치는 마이너스이다. 보통백성이 되고 싶어도 되지를 못한다. 이것은 중.. 2014. 1. 15.
한고조 유방의 유언 분석: 환환상구(環環相扣), 백밀무일소(百密無一疎) 글: 하목풍(何木風) "유씨가 아니면서 왕이 되면, 천하가 모두 그를 쳐라." ---<사기.여태후본기> "여후가 고조에게 물어 말하기를: 폐하가 세상을 떠난 후 소상국이 죽으면 누가 대신합니까. 황상이 말하기를: 조참이 괜찮다. 그 다음은 누구입니까라고 물으니 답하기를: 왕릉이 괜찮다.. 2013. 12. 21.
명나라는 태감의 정치간여로 망했는가? 글: 홍촉(洪燭) 태감에 대하여 얘기하면 사람들은 위충현(魏忠賢), 이연영(李蓮英)같은 반면인물을 생각할 것이다. 자금성은 그들을 유명하게 만들었고, 지금까지도 악명을 널리 떨치고 있다. 기실 태감 자신도 불행하다. 봉건시대의 희생품이다. 제왕들의 음암(陰暗)한 심리가 태감의 생.. 2013. 11. 10.
중국고대에 탐관오리의 가산을 몰수한 후 어떻게 처리했는가? 글: 이수정(李樹政) 황제가 관리의 불법재산을 몰수하도록 명령하면, 그 재산은 국고로 모조리 들어갔는가? 그렇지는 않다. 사료를 보면, 여러가지 서로 다른 경우가 있다: 어떤 경우는 천하의 세금의 절반으로 충당한 적도 있고; 어떤 경우는 현지의 지방에 하사하여 백성들의 조세납부.. 2013. 11. 10.
위태후(韋太后): 남송의 국모 글: 섭지추(葉之秋) 황제의 여인은 보통 사람들이 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황제의 여인은 당연히 출신이 좋아야 하고, 집안이 고귀해야 한다. 송나라 황제의 비빈은 대부분 조정중신의 딸이다. 그러나 본문의 주인공인 위씨는 그저 비천한 시녀였을 뿐이다. 송철종때 재상을 지내다가 단.. 2013. 11.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