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환관33

왕진(王振): 명나라 환관전횡의 효시 글: 주가웅(朱家雄) 중국역사상 많은 왕조에서 환관전횡의 현상이 나타났다. 그리고 몇몇 유명한 환관(태감)이 출현한다. 예를 들면, 진나라의 조고(趙高), 동한말기의 십상시(十常侍), 당나라의 고력사(高力士), 이보국(李輔國), 구문진(俱文珍), 왕수징(王守澄), 구사량(仇士良), 전영자(田.. 2013. 11. 18.
당선종(唐宣宗)의 세 가지 얼굴 글: 조염(趙炎) 백거이(白居易)가 죽은 후, 당선종 이침(李忱)은 추도시를 쓴다. 그중에는 "문장이만행인이(文章已滿行人耳), 일도사군일창연(一度思君一愴然)!"이라는 구절이 있다. 그 내용을 보면 감동할만하다. 임금으로서 이처럼 신하를 생각해주다니 이런 유정유의(有情有義)는 .. 2013. 5. 3.
동한(東漢)의 관직(官職) 글: 추산(秋山) 1. 중앙 동한의 중앙정부의 관리는 성관(省官), 궁관(宮官), 외관(外官)의 3대계통이 있다. '내관', '외조'의 구분은 예로부터 있어 왔다. 그리고 궁정내에 황제가 일상기거를 하는 구역을 성중(省中, 禁中이라고도 칭한다)이라고 칭한다. 그러므로, 내궁관리중에는 궁관과 성.. 2013. 4. 13.
환관과 문관: 서로 다른 탐욕 글: 자작자애2 명나라때의 태감(환관)은 일반적으로 모두 보잘 것없는 집안 출신이다. 신세배경이 간단한데다, 집안을 이을 후계자도 없다. 그래서 그들의 영향력과 기반은 문관들과 비교할 수가 없다. 그들의 부정부패수단은 비교적 간단하고 직접적이다. 일반적으로 접대를 받고, 돈을 .. 2013. 4. 13.
환관과 사대부: 누가 더 나쁜 짓을 많이 했는가? 글: 문재봉(文載縫) 동한 후기 하진(何進)은 여동생과 후궁태감의 관계를 이용하여 대장군으로 승진한다. 그러나, 그는 대권을 장악한 후, 은혜를 원수로 갚는다. 무고하고 선량한 태감들을 해친다. 이것은 무엇때문인가? 사서에는 함부로 적었다. 이것은 모두 태감들이 횡행불법을 저질.. 2012. 9. 19.
유언(劉焉): 동한말 난세의 원흉 글: 섭지추(葉之秋) 동한말기의 난세를 얘기하자면, 일반 사람들은 항상 동탁(董卓)을 떠올린다. 확실히 동탁이 입경하여 한나라황제를 폐위시키고 새로 세운 것은 동한이 쇠망으로 가는 중요한 사건이다. 천하의 제후들은 동탁을 통하여 한 가지 이치를 확실히 깨달았다. 동탁처럼 아무.. 2012. 8.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