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국봉22 화국봉의 네 자녀의 근황 글: 왕남방(王南方) 1981년 중공중앙주석직을 사직한 후, 화국봉은 27년간 정치무대를 떠나서 생활했다. 비록 그 동안 4번이나 높은 득표로 중공중앙위원에 당선되었지만, 한번도 어떤 연설을 하거나 매체와 인터뷰를 한 바 없다. 화부(華府) 주위의 이웃이 우연히 그가 문을 나서 산보할 때.. 2016. 1. 10. "사인방" 체포작전은 어떻게 진행되었는가? 글: 정중원(程中原), 유창(劉倉), 하행진(夏杏珍) 정치국의 다수와 '사인방'과의 투쟁이 이미 죽기살기의 관건적인 순간에 도달했다. 중국역사는 운명을 결정하는 십자로에 들어선 것이다. 섭검영(葉劍英)은 10월 4일 <광명일보> 1면에 발표된 양효(梁效)의 글을 본다. 이는 그들이 최고.. 2014. 10. 2. "3중전회(三中全會)"의 특별한 의의 글: 신민주간(新民週刊) 1978년의 그해 겨울 중국공산당의 역사를 돌아보면 최소한 제11기 3중전회때부터 시작하여, 역대 당대표대회이후 3중전회는 왕왕 특수한 의의를 지녔다. 일부 중대한 전환점을 이룬 결정은 3중전회에서 이루어졌다. 모든 것은 1978년의 그해 겨울로 되돌아간다. 중앙.. 2013. 11. 13. 화국봉(華國鋒)의 네 자녀는 어디에 있는가? 글: 양국선(楊國選) 1981년 6월, 화국봉은 중공중앙 11기 6중전횡서 중공중앙주석, 중앙군위주석에서 사직하고, 2008년 8월 20일 별세한다. 자연히 화국봉은 이미 매체의 관심에서 멀어졌고, 화국봉의 네 자녀들은 중국인들이 대부분 모르고 있다. 화국봉의 원래 이름은 소주(蘇鑄)이다. 1938년 .. 2013. 8. 4. 모택동의 임종유언의 역사진상 글: 학길림(郝吉林) 1976년 9월에서 10월, 중국정계는 한 마디 말을 둘러싸고 경심동백(驚心動魄)할 투쟁을 전개한다: 그것은 "기정방침에 따라 처리한다(按旣定方針辦)"는 말이다. 이 말의 영향력은 아주 크고 깊어서, 지금 생각하면 탄식이 나온다. 그리고 온갖 생각이 떠오른다. 모두 .. 2012. 4. 23. 모택동 사후의 사인방(四人幇) 글: 서염(徐焰) 1976년 9월 9일, 모택동(毛澤東)이 서거한 후 1시간여가 지난 새벽2시경 중앙정치국은 202루(樓)에서 긴급회의를 개최하여, 장례문제를 논의했다. 강청(江靑)은 회의에서 울며불며 소란을 피웠다. 그녀는 모주석이 등소평(鄧小平)때문에 화가 나서 죽은 것이라고 말하.. 2012. 1. 24. 이전 1 2 3 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