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11 두환(杜環): 중국최초로 지중해와 아프리카까지 여행한 인물 글: 천지사화(天地史話) 중국과 유럽은 광활한 중앙아시아와 중동으로 가로막혀 있다. 서한때 한무제는 장건을 서역에 사신으로 보내어, 감숙, 신강을 거쳐 중앙아시아, 서아시아로 가서, 지중해각국과의 육상교통을 연다. 이것이 유명한 비단길이다. 97년, 동한의 명장 반초는 흉노인의 .. 2018. 10. 29. 5천년 중국역사에 왜 "중국"이라는 명칭을 가진 왕조는 나타나지 않았을까? 글: 한정우기(閑情偶記) 중국은 세계4대문명고국중 하나이다. 5000년의 문명사를 지니고 있다고 자랑한다. 다만, 역사상 중국에서는 어느 왕조도 '중국'이라는 명칭을 쓰지 않았다. '중국'이라는 단어가 가장 먼저 나타난 것은 서주(西周)초기 청공기 "하존(何尊)"의 명문(銘文)이다: "여기택.. 2018. 10. 26. 돈황학(敦煌學)이란? 글: 자주군(煮酒君) 많은 사람들은 여추우(余秋雨)의 문화고려(文化苦旅)를 읽어보았을 것이므로, <도사탑(道士塔)>에 대하여 기억이 생생할 것이다. 그래서 왕도사(王道士)에 대하여는 불만이 클 것이고, 그는 민족의 패류(敗類)라고 여길 것이다. 그러나 문학창작과 역사진상이 반드.. 2015. 12. 14. 중국에서 탐관오리가 없는 부서는 도대체 어디인가? 글: 수재강호(秀才江湖) 고수분들에게 물어보고 싶다. 중국에서 어느 성,시,자치구, 어느 관직에서 탐관오리가 나오지 않은 곳이 있는가? 생각해보면 어지럽다. 생각해보면 정말 기이한 일이다. 나는 도저히 답을 내놓을 수 없다. 대륙에 탐관오리는 많다. 광동은 특히 많다. 광동에 탐관.. 2015. 11. 15. 수당(隋唐)의 4명의 황제는 왜 고구려를 정복하고자 했는가? 글: 천행건(天行健) 고구려를 신복(臣服)시키지 못한 것은 이세민의 일생에서 최대의 유감이었다. 심지어 그는 죽기 전에, 어떻게 고구려를 정복할 것인지를 계획하기도 했다. 사학계의 많은 사람들은 이세민이 고구려에 대한 정복전쟁을 벌인 것은 그의 인생에서 최대의 실패작이라고 .. 2015. 2. 10. 여인국의 비밀 글: 마백용(馬伯庸) <서유기>에서 가장 멋있는 부분은 서량 여인국을 꼽지 않을 수 없다. 여인국의 주인은 천교백미(千嬌百媚)하여 당승까지도 거의 마음이 동요될 정도였다. 독자들은 이 내용을 읽으면서 안타까워하지 않는 사람이 없다. 부지불식간에 정말로 그런 나라가 있으면 얼.. 2014. 8. 27.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