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하진19

하안(何晏)은 누가 죽였는가? 글: 시습사사(時拾史事) 하안은 조조의 양자인데, 나중에 조조의 사위가 된다. 그는 조위정권에서 아주 특수한 지위를 가진다. 동시에, 하안의 학문수양도 아주 높았다. 그는 천하의 명사로 이름을 떨쳤다. 그는 유학에 정통하면서 현학에도 조예가 깊어 위진시대 유유입현(由儒入玄)의 .. 2018. 6. 10.
조조의 딸들은 누구와 결혼했는가? 글: 이치아(李治亞) 정략결혼은 고대 정치투쟁에서의 큰 일이다. 삼국시대에는 아주 빈번했다. 조조도 여러번 이를 활용한다. 조조는 아주 행복한 사람이다. 왜냐하면 많은 여인이 있었고, 많은 딸들을 낳아서 길렀기 때문이다. 그래서 조조는 자신의 부하 혹은 상대방과 정략결혼시키는 .. 2018. 2. 9.
삼국소인물(4): 허유(許攸). 탐욕에 눈이 멀어 목숨을 잃은... 글: 살사(薩沙) 허유는 삼국시대 중전기의 핵심인물이다. 관고지전의 승부를 결정지었다. 그는 재능이 있으나 탐욕이 많았던 소인이다. 최종적으로 자신의 독특한 성격으로 조조에게 죽임을 당한다. 그는 원래 원수 휘하의 참모였다. 그리고 원소를 위하여 적지 않은 기책묘계를 올린 바 .. 2018. 1. 9.
하태후(何太后)의 수학문제 글: 조염(趙炎) 삼국난세의 원인에 관하여 후세인들은 대부분 한영제의 "폐사입목(廢史立牧, 자사를 없애고 주목을 둔 것)"과 동탁(董卓)의 시대를 역행한 조치에서 찾는다. 기실, 전자는 황건적의 난때부테 어쩔 수 없이 그렇게 된 것이다. 태상 유언(劉焉)이 한 말처럼 "사방에서 반란이 .. 2015. 11. 2.
조조는 동탁을 암살하지 않았다. 글: 불감왕언(不敢枉言) <삼국연의>에 조조가 동탁을 암살하는 장면이 있다. 당시 동탁이 권력을 농단하고 있어서, 사도 왕윤이 신하들을 불러모아놓고 눈물을 흘리고 있었다. 돌연 조조가 박수를 치며 크게 웃는다. "조정의 공경들이 밤부터 낮까지 곡을 하고, 낮에서 밤까지 곡을 하.. 2015. 2. 10.
한소제(漢少帝): 환관묘에 묻힌 유일한 황제 글: 문재봉(文裁縫) 고대인들은 사후의 묘를 쓰는 것을 아주 중시하였다. 백성의 집안들도 그러했으니, 황실귀족은 더욱 그러했다. 이치대로라면, 황제의 묘는 설사 금벽휘황까지는 아니더라도 아주 신경써야 할 것이다. 다만, 한소제가 죽은 후, 그저 아무렇게나 환관의 묘에 묻어버린다.. 2014. 12.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