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트럼프142

미국 주중대사 사임의 또 다른 원인 글: 황금(皇金) 미국 공화당원 Terry Branstad가 9월 14일 주중대사의 직위를 사임했다는 소식은 그다지 의외도 아니다. 어쨌든 Donald Trump정부는 중국과의 탈동조화를 추진하고, 국무장관 Mike Pompeo는 대중 이데올로기전을 개시한 배경하에서, 그가 베이징에서 할 역할은 거의 없어져 버렸다. 다만 그가 사직하는 방식은 좀 돌발적이었다. 먼저 미국매체에서 나오고, 그후에 주중대사관이 글을 올린다. 그러나 중국외교부는 그날 명확하게 미국측의 통보를 받지 못했다고 말한다. 그날 저녁, 미국 국무부는 성명을 발표하지 않았고, 폼페이오는 트위터를 통하여 브란스타드가 사임했다는 소식을 전했다. 비교해보자면 브란스타드가 주중대사를 3년간 맡을 수 있다는 것도 쉽지 않았다. 현재 주중대사를 가.. 2020. 9. 16.
포스트TikTok시대: 중국기업은 어떻게 세계의 돈을 벌어야 할까? 글: FT중문망 틱톡이 최근 화웨이의 뒤를 이어 미국의 봉쇄를 당했다. 필자는 작년에 쓴 라는 글을 떠올렸다. 두 하이테크기업은 서로 다른 영역에 속해 있다. 화웨이는 민족의 자부심인 ICT 사회기반시설과 스마트단말기제공업체이고, 틱톡은 단편영상SNS플랫폼의 선두주자이다. 전후로 미국의 포위공격을 당했고, 심지어 다른 나라들로부터도 제재를 받고 있다. 트럼프의 틱톡금지령이 발표된 후, 화웨이 소비자업무 총재인 위청동은 8월 7일 2020년중국정보화100대기업회의에서 이렇게 말한다. 틱톡은 중국에서 몇 안되는 글로벌화의 결심을 지닌 인터넷기업이다. 다른 대부분의 중국인터넷기업은 중국대륙시장에 안주하고 있다. 기본적으로 중국인 자신의 돈을 버는 것이다. "중국에 14억인구가 있다. 다만 세계에는 70억인구가.. 2020. 9. 6.
주미 중국외교관활동제한에 영향을 받을 3종류의 사람들... 글: 주효휘(周曉輝) 미국대선날짜가 가까워오면서, 트럼프정부는 베이징의 간담을 서늘하게 할 행동의 발걸음을 가속화하고 있다. 미국 현지시간 9월 1일, 미국 국무장관 폼페이오는 폭스비지니스뉴스와의 인터뷰에서 이렇게 말한다. "중공은 시진핑 총서기의 영도하에 이미 선택을 했다." "군사역량확충이건, 외교노력이건 '일대일로'를 통하여 부용국을 건립하려고 기도하는 등, 중공은 세계범위내에서 패권을 쟁탈하는 독재정권으로 각종 다른 도전을 하고 있다." 폼페이오는 이렇게 말했다. 바로 중공이 이런 선택에 기하여, 바로 중공의 도전에 직면했기 때문에, 미국은 비로소 스파이활동에 종사하는 주휴스턴총영사관을 폐쇄하는 활동등을 취했다. 그는 토로했다. 미래 며칠 혹은 몇주내에 사람들은 트럼프정부가 더욱 큰 측면에서 "아.. 2020. 9. 4.
TikTok인수를 둘러싼 트럼프와 중국의 힘겨루기 글: 사전(謝田) TikTok의 미래는 미중간의 힘겨루기에 따라 여러 극적인 변화가 나타나고 있고, 앞으로의 전망은 예측하기 어렵다. 다만, 만일 자세히 트럼프정부의 TikTok과 다른 중국배경의 앱에 대한 통일적인 전략을 관찰하면, 쉽게 알 수 있다. 중국측에서 어떻게 움직이더라도 어떻게 계산하더라도, 결국은 아무 소용이 없을 것이다. TikTok의 최종 운명은 바꿀 수가 없을 것이다. 트럼프정부는 먼저 45일의 기한을 정한 후, 트럼프가 다시 기한을 90일로 늘여줄 것이라는 소문이 돌았지만, 결국 실현되지는 않았다. 중국당국은 이때 신속히 기술수출관제규정을 수정하여 TikTok의 매각을 교란시키려 했다. 중국의 계산이 정명하지만, 기실 그것이 드러내는 것은 독재정권의 탐욕과 우춘이다. 다시 한번 세계.. 2020. 9. 3.
중국은 어떻게 1.6조달러의 백년채무를 지게 되었는가? 글: 이대야(二大爺) 얼마전 미국하원의원 Mark Green은 중국에 1.6조달러의 채무를 상환하도록 요구하는 안건을 발의한 바 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그 소식을 듣고 깜짝 놀랐을 것이다. 중국이 미국의 최대 채권자가 아니던가? 어떻게 중국이 미국에 채무를 지게 되었단 말인가? 그리고 왜 이렇게 큰 금액인가? 그 유래를 설명하자면 좀 길다. 이 채무는 사실 2개의 사람들이 잘 모르는 역사와 관련되어 있다. 첫째는 "호광철로채권(湖廣鐵路債券)"이다. 청나라말기에 철로를 많이 지었는데, 재정이 궁핍하여 계속 건설할 수 없었다. 1911년 호광철로를 건설하기 위하여, 미국, 영국, 프랑스, 독일의 4개국은행에 채권을 발행한다. '호광철로채권'은 총액이 600만파운드이다. 연리는 5%이다. 매년 1회 이자를 .. 2020. 9. 1.
중국은 미국과의 전쟁을 어떻게 대비하고 있는가? 글: 왕혁(王赫) 미중신냉전은 열전으로 발전할 것인가? 이는 중국의 방향을 판단하고, 국제전략을 결정하는 중대한 문제이고, 핵심문제이다. 본문에서는 이에 대해 두 가지 점을 검토해보기로 한다. 첫째, 중국은 쉽게 전쟁을 개시하지 않을 것이고, 미중결전의 시기를 2049년까지 최대한 늦추고 싶어한다. 2020년은 미중신냉전의 원년이다. 형세는 순식간에 변화한다. 중국이 만변(萬變)중 불변(不變)하는 것은 여전히 "양개일백년(兩個一百年)"의 목표이다: 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여전히 '전략기우기(戰略機遇期)'라고 주장하고 있다. '전략기우기'에는 중국이 함부로 미국과 전쟁을 시작하지 않을 것이다. 당연히 현재 미국과 중국의 실력차이는 크다. 중국이 쉽게 전쟁을 개시하지 못하는 중요요소가 바로 그것이다. 당.. 2020. 8.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