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감24 원귀비(袁貴妃): 명나라 망국후에 유일하게 생존한 숭정제의 비빈 글: 진영신(陳令申) 명나라는 270여년의 역사를 거쳐, 최종적으로 숭정제때 멸망한다. 비록 숭정제가 재위할 당시에 근검절약을 제창하고 정사에 근면했으며 전심전력을 다하여 통치에 힘쓰며 기울어가는 나라를 바로 잡아 명나라를 다시 회복시키고 생기를 불어넣고자 했지만, 아쉽게도.. 2017. 4. 10. 환관의 "정신(淨身)" 글: 생활문적(生活文摘) 태감(太監)은 얼굴에 수염이 없고, 목에 목젖이 없고, 목소리가 가늘어지며, 말하는데 여자의 목소리와 기운이 있다. 행동거지와 동작도 여자같고 남자같지 않은 '중성인(中性人)'이 된다. 동한부터 시작하여, 모조리 엄인(閹人, 내시)을 썼다. 이는 황군의 내정.. 2015. 6. 16. 완용(婉容)과 문수(文秀)의 후궁투쟁사 글: 서문(瑞文) 1922년, 이미 퇴위한 마지막 황제 부의(溥儀)는 대혼을 거행하여 황후 완용과 숙비 문수를 취했다. 완용은 찬약도화(燦若桃花)하고, 문수는 정약추수(靜若秋水)했다. 두 사람은 서로 보완되어 일후일비의 생활은 원래 아주 행복해야 했다. 그러나 몇년 후, 문수는 이혼하고, .. 2015. 1. 14. 이연영(李連英)의 진면모: 만들어진 매국노 글: 천진망 중국역사상 가장 유명한 태감은 아마도 이연영(李連英)일 것이다. 일반적으로 "李蓮英"이라고 적는데, 그것은 잘못된 것이다. 전해지는 바로는, 이연영이 태후와 공친왕의 사이에 정보를 전달하여, 정변을 성공시키는데 공헌을 했다고 한다. 그후, 그는 궁중에서 아주 신속히 .. 2014. 4. 6. 명나라는 태감의 정치간여로 망했는가? 글: 홍촉(洪燭) 태감에 대하여 얘기하면 사람들은 위충현(魏忠賢), 이연영(李蓮英)같은 반면인물을 생각할 것이다. 자금성은 그들을 유명하게 만들었고, 지금까지도 악명을 널리 떨치고 있다. 기실 태감 자신도 불행하다. 봉건시대의 희생품이다. 제왕들의 음암(陰暗)한 심리가 태감의 생.. 2013. 11. 10. 광서제의 연금생활은 어떠했는가? 글: 낙방거사 "무술변법"이 실패한 후, 서태후는 광서제의 명의로 유지를 반포하여, 광서제는 질병으로 조정업무를 처리할 수 없어, 서태후가 다시 "훈정"을 한다고 선언한다. 그녀의 이번 "훈정"은 이전의 "수렴청정"과는 달랐다. 직접 황제와 나란히 앉아서 신하들을 마주하고 업무를 듣.. 2013. 6. 10. 이전 1 2 3 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