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진시황184

중국에서 황제의 호칭은 어떻게 변화했는가? 글: 이묵추(李墨秋) 이전에 중국고대역사를 읽을 때, 나는 왕왕 한 가지 문제에 대하여 의혹을 느꼈다. 즉 우리가 중국고대의 황제를 부를 때, 처음에는 모두 "00제(帝)"(시호)로 불렀다. 예를 들어, 한무제, 수문제 등등. 그러나 당나라때가 되면 이 칭호는 사라지고, 그에 대체하여, "0조", "0.. 2014. 3. 2.
한무제: 진시황보다 장생불사를 추구한 황제 글: 소랑(小浪)3 모택동은 유명한 <심원춘.설>의 후반부에 이런 내용이 있다: "강산여차다교(江山如此多嬌), 인무수영웅경절요(引無數英雄竟折腰), 석진황한무(惜秦皇漢武), 약수문채(略輸文采), 당종송조(唐宗宋祖), 초손풍소(稍遜風騷).....구왕의(俱往矣), 수풍류인물(數風流人物), .. 2014. 3. 2.
황제의 옥새(玉璽) 글: 문재봉(文裁縫) 옥새는 바로 황제 전용의 인장이다. 인장은 주(周)나라때부터 나타난다. 신용을 나타내기 위한 것이었다. 진(秦)나라에 들어서서는 제왕과 신민(臣民)을 구분하기 위하여 황제의 인장을 '옥새'라고 부른 것이다. 그 이유는 황제의 인장은 옥으로 만들었기 때문이다. 보.. 2014. 2. 4.
숙손통(叔孫通): 진나라 비인기학문 선생이 한고조를 따라 창업하다. 글: 광주일보 선진양한(先秦兩漢)은 중국역사상 취업기회가 가장 많았던 시기이다. 왜냐하면 이 시기는 바로 중국의 여러가지 제도가 창립되고 성장한 시기이기 대문이다. 새로운 업무가 계속하여 나왔고, 인재들이 출현하는데 광활한 공간을 제공해 주었다. 외교를 잘 하는 자, 전투를 .. 2014. 1. 15.
서소패(徐昭佩): 서낭반로(徐娘半老) 풍운유존(風韻猶存) 글: 조염(趙炎) 553년의 가을날, 후량(後梁)의 수도인 강릉(江陵, 지금의 호북성 형주)의 대로에는 도처에 쇠잔한 낙엽이 쌓여 있었다. 몇몇 내시 복장을 한 사람들이 마차를 하나 끌고 나타났다. 마차위에는 물기에 젖어 있는 여자의 시체가 누워 있었다. 그들은 시중(侍中)인 서곤(徐緄.. 2014. 1. 14.
진승,오광의 난은 실패한 것이 아니다. 글: 장부걸(張溥杰) 이천여년전에, 중국역사상 최초의 대규모 농민의 난이 일어난다. 이 의거의 남자1호주인공과 2호주인공은 진승, 오광 두 사람이다. 현재 보편적인 견해는 진승오광은 농민의 난의 비조라는 것이다. 그들의 반란은 가가가읍(可歌可泣, 찬미하여 눈물을 흘릴만큼 감동적.. 2013. 11.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