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생불사12 한무제: 진시황보다 장생불사를 추구한 황제 글: 소랑(小浪)3 모택동은 유명한 <심원춘.설>의 후반부에 이런 내용이 있다: "강산여차다교(江山如此多嬌), 인무수영웅경절요(引無數英雄竟折腰), 석진황한무(惜秦皇漢武), 약수문채(略輸文采), 당종송조(唐宗宋祖), 초손풍소(稍遜風騷).....구왕의(俱往矣), 수풍류인물(數風流人物), .. 2014. 3. 2. 황제와 연단(煉丹) 글: 상한(桑寒) 이것은 무슨 논픽션소설이 아니다. 중국고대의 일부 제왕들도 수도(修道)를 했다. 자신이 지고무상이라고 생각하였으나, 귀문관으로 가고 싶어하지는 않았다. 수도를 하여 신선이 되는 술법을 선택하였고, 장생불사의 약을 힘들게 찾아다녔다. 무슨 원영(元嬰), 도겁(.. 2013. 4. 13. 한무제: 진시황 못지 않은 폭군 글: 서부명기(西部銘記) 한무제 유철(劉徹)은 일찌기 내가 어렸을 때 가장 숭배하던 역사인물 중 하나였다. 그는 확실히 숭배할 만한 인물이다. 북방으로 눈을 돌려, 일찌기 그의 증조부인 유방을 여러해동안 애먹였던 흉노를 여러번 그가 격패시킨다. 이때부터 막남(漠南)에는 더 이상 흉.. 2012. 3. 3. 당태종(唐太宗)은 어떻게 죽었는가? 글: 양국선(楊國選) 당태종은 중국역사상 나라를 잘 다스렸던 몇 안되는 군주중의 하나이다. 그런데, 그는 한창 나이에 사망을 해서, 우리에게 궁금증을 남겼다. 무덕9년(626년) 육월 사일 '현무문사건'이 벌어진다. 태자 이건성과 제왕 이원길이 피살되고, 이세민이 태자가 된다. 두 달후, 이세민이 등극.. 2010. 3. 25. 당헌종(唐憲宗): 당나라의 제삼천자(第三天子) 글: 위목색자(韋木色子) 오랫동안 당나라의 황제들 중에서 비교적 높은 평가를 받는 사람은 3명이다: 당태종 이세민, 당현종 이융기, 당헌종 이순(李純). 당헌종은 당태종이나 당현종처럼 휘황한 태평성대를 열기는 못했다. 그럼에도 그들과 나란히 이름이 거론된다는 것을 보면 그에게는 비범한 측면.. 2010. 2. 27. 진시황이 황후를 두지 않은 이유는? 글: a喜子 중국고대의 봉건제왕은 모두 황후를 두었다. 황후제도는 태자제도와 서로 관련이 있다. 이는 후궁제도 내지 군주정치의 중요한 구성요소이다. 전국시대 진(秦)나라는 진효공이후, 황후와 태자를 두는 것을 제도화했다. 나중에 다른 제후국들도 모두 본받았고 완비되었다. 진나라가 전국을 .. 2010. 1. 25.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