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세민114 조조묘가 "인산(因山)"이라는 증거 글: 산첨자(山尖子) 왜 조조묘를 "인산위체(因山爲體)"묘라고 하는가?(인산위체묘는 산에 구멍을 뚫어서 관을 모신 형태의 능묘). 근거는 도대체 있는 것인가? 있다면 얼마나 있을까? 아래에 그 증거를 열거하니 참고하기 바란다: 1. "서원(西原)", "서강(西岡)"의 증거 '서원'은 조조의 <종.. 2013. 5. 18. 당나라 최초의 태자 이건성(李建成)의 진실한 모습은 이렇다. 글: 장세과(張世科) 옛날 사서를 보면 당나라의 첫번째 태자인 이건성의 이미지가상당히 부정적이다. 그는 음험하고 간사할 뿐아니라 호색하고 공을 탐한다. 학문이나 재주도 없으며 마음은 좁은 부잣잡 망나니아들의 이미지이다. 그러나, 진실한 이건성은 어떠했을까? 많은 사료를 보면.. 2013. 4. 29. 당태종 이세민의 자녀들 작자: 미상 당태종 이세민은 626년에 즉위한 후 24년간 재위했다(627-649). 이세민은 중국역사상 보기드문 타천하(打天下)도 할 줄 알고, 치천하(治天下)도 할 줄아는 명군이었다. 그러나 권력을 쟁탈하는 과정에서, 그는 자신의 두 형제를 죽이고, 부친을 퇴위시켰고, 여러 아들을 죽게 만들.. 2013. 4. 13. 영락제의 후계경쟁에 관하여 글: 풍청등(楓晴橙) 명나라때, 엄격하게 적장자계승제를 집행하였으므로, 황위쟁탈전은 다른 왕조때보다 많이 적었다. 그러나 명나라때, 비교적 격렬한 후계자쟁탈전이라면 영락제때를 꼽을 수 있다. 많은 사람들은 후계자다툼을 영락제 주체의 편애때문이라고 본다. 예를 들어, 정난의 .. 2013. 4. 13. 양광(楊廣)과 인수궁의 변(仁壽宮之變): 수양제는 어떻게 추화되었는가? 글: 고월(高月) 많은 사서에는 이렇게 기록되어 있다. 양광은 인수궁에서 선화부인을 집적대었다고. 그리고 그와 양소가 주고받은 사신이 양견의 수중에 잘못 전달되어, 양견이 진노하여 다시 양용을 태자로 세우려 하자, 양광이 시부간모(弑父奸母)하였다. 그러나 이는 모두 헛소리이다... 2013. 4. 13. 현무문사변 이후: 참초제근(斬草除根) 글: 왕관인(王寬仁) 현무문사변이 끝났지만, 이당황실의 피는 아직도 더 흘려야 한다. 왜냐하면 풀을 없애려면 뿌리까지 뽑아야 하기 때문이다. 태자 이건성과 제왕 이원길은 비록 제거했지만, 그들의 아들 10명이 건재하다. 이세민에 있어서, 이것은 정치적 적을 남겨놓는 꼴이다. 잠재적.. 2013. 3. 30. 이전 1 ··· 9 10 11 12 13 14 15 ··· 1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