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융중대14

제갈량은 싸움을 잘 했을까? 글: 조종국(曹宗國) 현재의 여론은 일방적으로 제갈량이 싸움은 잘 못했다는 것이다. 첫째는 <삼국연의>에서 그를 너무나 신격화해서, <삼국지>와의 차이가 아주 크고, 둘째는 일부 사학자 특히 모택동, 속유와 같은 군사가들이 모두 그에 대하여 이렇게 평가했기 때문이다. 그러.. 2014. 5. 29.
제갈량의 <융중대>는 그다지 고명하지 않다. 글: 서염(徐焰) "삼고빈번천하계(三顧頻煩天下計), 양조개제노신심(兩朝開濟老臣心)" 사람들은 제갈량을 언급하면, 왕왕 그가 유비를 도와 군사전략 &lt;융중대&gt;를 작성하여 "뛰아는 재주를 천하가 다 알고 있다(高才天下知)"고 알고 있다. &lt;삼국연의&gt;의 작자인 나관중은 그를 심지어.. 2013. 3. 13.
제갈량의 약점 글: 차옥민(車玉民) 고전문학의 명저 &lt;삼국연의&gt;는 많은 인물들을 생동감있게 그리고 있다. 그중에서도 제갈량은 천고에 보기 어려운 현상(賢相)의 모범이며, 지혜의 화신이다. 대다수의 연구자들은 모두 이를 충분히 인정하고 찬송한다. 그러나, 사람이라면 누구나 약점이 있다. 제.. 2012. 7. 15.
모택동은 왜 제갈량의 군사적 재능을 인정하지 않았을까? 글: 유계흥(劉繼興) 역사상 진실한 제갈량은 업적이 출중한 정치가이다. 촉국을 다스리는데 재능이 있었다. 그러나, 군사적으로 뛰어난 점은 많지 않다. &lt;삼국연의&gt;에서 그려진 것처럼 그렇게 용병여신(用兵如神)한 것과는 거리가 멀다. &lt;삼국연의&gt;는 민간에 영향이 아주 .. 2012. 1. 1.
제갈량의 고향은 어디인가? 글: 배옥(裴鈺) "신은 원래 포의(布衣)로, 남양(南陽)에서 농사를 지으며, 난세에 구차한 생명을 유지하였고, 제후에게 이름이 알려지기를 구하지 않았습니다. 선제(先帝, 유비)께서는 신을 미천하게 여기지 않고, 스스로 몸을 낮추어 초가집을 세번이나 찾아오셔서 신에게 당금세상의 일.. 2010. 9. 17.
제갈량과 장량의 성격이 성패를 결정했다 작자: 미상 장량과 제갈량은 중국역사상 걸출한 군사모략가이다. 전자는 유방을 도와서 양한 사백년의 패업을 이루어 냈고, 후자는 유비를 도와서 삼국정립의 한 다리를 형성하게 하였다. 장량, 제갈량 두 사람의 IQ는 서로 우열을 가리기 힘들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최소한 두 사람의 .. 2009. 7.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