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유표36

중국몽(中国梦)이란 도대체 무엇인가? 글: 여천 ​ 중국정권의 설계는 모두 천년대계이다. 비록 황제, 태감의 치국으로 만신창이가 되었지만, 그들은 항상 헛점을 메우려고 노력한다. 2천년동안, 관방과 민간은 한 가지에 대하여 컨센서스를 얻어냈다: ​ 명군을 현신이 보좌하는 것이 이 사회의 가장 좋은 정치모델이다: 신하는 대지대충하고 국궁진췌하며, 황제는 백성을 자식처럼 사랑하고, 현명한 선비를 예로 대하는 것이다. 그렇게 되면 세상은 태평무사하게 된다. ​ 바로 이천년의 중국몽이다! ​ 삼고초려는 바로 명군현신, 중국신화의 대표적인 이야기이다. ​ "선제께서는 신이 비천하다고 여기지 않고, 자신의 몸을 낮추어, 세번이나 신을 초가집으로 찾아오셨다!" 이 얼마나 긍정적인 에너지인가. ​ 성도의 무후사는 중국에서 유일하게 군신이 합사된 사묘이다... 2023. 12. 26.
"관도대전(官渡大戰)"에 대한 의문점 글: 이경서(李慶西) 에는 관도대전을 쓰면서, 관우(關羽)가 조조(曹操)의 백마(白馬)에서의 포위당한 상황을 풀어준 것부터 시작한다. 그 일은 제25회 후반부에 쓰여 있다. 원소(袁紹)는 대장 안량(顔良)을 보내 여양(黎陽)에서 황하를 건너게 했고, 안량은 황하남안의 백마에서 유연(劉延)을 증원하러 가던 조조의 군대와 부닥친다. 안량은 송헌(宋憲), 위속(魏續) 두 장수를 연이어 참하고, 무예가 뛰어난 서황(徐晃)마저 물리친다. 그리하여 조조군영의 여러 장수들은 전율하게 된다. 이때 정욱(程昱)이 나서서 추천하여 관우가 출전한다. 책에서는 이렇게 적고 있다: "조조가 산 아래 안량이 배치한 진세를 가리키며, 기치가 선명하고 칼과 창이 빽빽하게 배치되어 있으며, 엄정하고 위엄이 있어, 관우에게 말하기를, .. 2023. 6. 18.
동한(東漢)의 유씨성의 5대주목(州牧) 글: 심근배조(尋根拜祖) 유표(劉表), 유언(劉焉)/유장(劉璋), 유우(劉虞), 유요(劉繇)/유대(劉岱)는 동한말기 지방에 할거한 4대주목(四大州牧)이다. 유비(劉備)가 나중에 유표와 유언의 자리를 차지한다. 동한말기에 유씨성의 관리는 아주 많았는데, 그들에게는 하나의 공통점이 있었다. 모두 한고조 유방(劉邦)의 후손이라는 것이다. 먼저 그들의 혈연관계를 소개한 후, 다시 정치관계를 이야기하기로 한다. 여러 유씨주목들간의 혈연관계 1. 유대, 유원: 유방의 서장자(庶長子) 제왕(齊王) 유비(劉肥)의 후손 유대와 유요는 친형제이고, 유대는 관직이 연주자사, 유요는 양주자사에 이른다. 나중에 '양주목(揚州牧)'을 받아 동한말기 4대종실주목중 한명이 된다. 혈연관계로 보면, 이들은 황실과의 관계가 가장 소원했.. 2023. 1. 31.
조조(曹操)의 죽마고우 4명의 운명은...? 글: 정회역사(情懷歷史) 어렸을 때 친구들간의 우의는 어떤 때는 친형제자매간의 감정에 못지 않다. 고대에, 죽마고우는 일반적으로 부친들도 서로 알고 지내고, 어려서부터 함께 놀면서 자랐으며, 어른이 되어서도 친구가 되었다. 그중 필자가 오늘 얘기하려는 사람은 조조이다. 그에게는 4명의 죽마고우가 있었는데, 모두 동한말기의 역사인물들이고, 출신, 능력이 비범했다. 그렇다면, 문제가 있다. 이들 4명의 운명은 각각 어떠했을까? 1. 채모(蔡瑁) 채모는 형주(荊州) 남군(南郡) 양양(襄陽)의 호족인 채씨집안 출신이다. 고모(姑母)가 동한의 태위(太尉)인 장온(張溫)의 처였다. 큰누나와 둘째누나는 각각 황승언(黃承彦, 제갈량의 장인)과 유표(劉表, 형주목)에게 시집을 간다. : "어려서 위무(魏武, 조조를 가리.. 2022. 11. 10.
제갈량 vs 이엄 (1): 이엄축출사건의 수수께끼 글: 의사리(衣賜履) [의사리]: 제갈량의 제4차북벌은 의 기재에 따르면, 위나라병사 3천여명을 참살하고, 거기장군(車騎將軍) 장합(張郃)을 사살하였다. 그러나 군량조달이 제대로 되지 않아, 철군하게 된다. 비록 휘황한 승리를 거두었지만, 한중(漢中)으로 돌아온 후, 제갈량이 한 첫번째 조치는 논공행상이 아니었다. 심지어 논공행상을 전혀 하지 않았고, 당초 그와 함께 유비에게 백제성에서 탁고(託孤)를 받았던 2인자 이엄(李嚴)을 관직에서 축출하는 것이었다. 이 사건은 아주 이상하다. 이엄이 축출된 이유는 황당하기 그지없다. 그리하여 역사가들도 어떻게 설명해야할지를 몰랐다. 예를 들어, 전여경(田餘慶) 선생은 이라는 글에서 이렇게 말했다: 이엄의 거동은 어쨌든 지나치게 괴류(乖謬)하여 상정(常情)에 부합하.. 2022. 3. 7.
제갈량 처가의 집안배경 글: 문방장거(文房掌柜) 제갈량의 혼사에 관하여는 그가 명사인 황승언(黃承彦)의 "황두흑부(黃頭黑膚, 머리카락은 누렇고 피부는 검다)"의 추녀를 취한 것으로 후세에 널리 알려져 있다. 제갈량은 원래 산동(山東)사람이다. 나중에 융중(隆中)으로 이주해 온다. 융중에서 머무는 10년동안 제갈량은 보통의 청소년에서 시무를 아는 준걸로 성장한다. 외지에 와서 사는 사람으로서, 그는 어떻게 청년파의 우두머리로 떠오를 수 있었을까? 제갈량 본인의 총명과 재지를 제외하고고 그가 양양으로 온 후에 건립한 인맥관계가 큰 영향을 미쳤다고 볼 수 있다. 그중 가장 중요한 원인은 현지의 호족세력 및 권력집안들과 혼인관계를 맺었다는 것이다. 당시 유표(劉表)가 통치하는 양양일대의 주요 호족세력으로는 방(龐), 채(蔡), 황(黃.. 2021. 11.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