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표36 방통(龐統)은 동오(東吳)의 간첩이었을까? 글: 섭시문사판(攝詩文史版) 음모론자들이 보기에 방통이 유비에 귀순한 것은 동오의 사명을 띈 것이라고 한다. 맥락은 대체로 이러하다: "공조(功曹)는 중요한 직무이다. 주유의 공조인 방통을 동오사람들은 왜 스스로 쓰지 않고, 노숙으로 하여금 유비에게 추천하게 했을까? 서천(西川, 사천)을 취하는 것은 제갈량이 제안한 것이다. 그러나, 실행시에 유비는 망설였고, 제갈량도 아무런 입장을 표시하지 않았다. 그런데, 방통은 계속하여 유비에게 자신을 데리고 사천에 들어가자고 권유했을까? 익주로 들어간 후, 유비는 왜 방통의 건의를 거의 듣지 않았을까? 방통은 적진으로 돌진하는 무장도 아닌데, 왜 군진의 앞에 섰다가 죽게 되었을까?" 그렇다면, 방통이 유비에게 귀순한 것은 정말 동오인들의 계획인 것일까? 혹은 방통.. 2021. 4. 20. 왜 유비의 촉한진영에 반도가 가장 많았을까? 글: 기점역사(起點歷史) <삼국지>에서 유비에 대한 평가는 "홍의관후(弘毅寬厚), 지인대사(知人待士)"였다. 그에게 "한고조의 풍이 있고, 영웅의 그릇이었다." 조조도 유비에 대하여 이렇게 말한다: "오늘 천하의 영웅은 오직 그대와 나 조조뿐이다." 손권은 이렇게 말한다: "유예주(유.. 2020. 1. 3. 유표(劉表) 휘하의 7대맹장은 위,촉,오로 어떻게 나누어졌는가? 글: 취관역사(趣觀歷史) 모두 알고 있다시피, 삼국은 군웅이 다투던 시기이다. 저명한 모신(謀臣), 무장(武將)이 많이 나타났다. 동한 말기에 굴기한 각로의 군벌을 살펴보면, 그들의 휘하에 인재들이 아주 많았다. 형주(荊州) 일대는 당시 부유한 곳으로 병가의 필쟁지지이다. 자연히 능력.. 2019. 10. 11. 형주(荊州)의 상황에 대한 판단은 제갈량과 방통중 누가 정확했을까? 글: 장공성조(長空星照) 제갈량의 융중대에서는 형주에 대하여, "북거한면(北據漢沔), 이진남해(利盡南海)"라고 하면서, 그 땅의 주인인 유표는 지킬 능력이 없어, 하늘이 유비에게 준 자본이라고 말한다. 그러나, 방통은 이렇게 말한다: "형주황잔(荊州荒殘)". 이미 이곳을 차지한다고 하.. 2019. 5. 23. 삼국소인물 (10): 문빙(文聘), 가장 저평가된 삼국명장 글: 역사대폭작료(歷史大爆炸了) 형주는 명장과 명상들을 많이 배출했다. 제갈량부터 방통까지, 이들 형주의 명사들은 전체 삼국시대의 진전에 영향을 미친다. 이들을 제외하고도, 여러번 조위(曹魏)를 위기에서 구해준 형주명장이 있다. 그가 바로 문빙이다. 문빙은 형주 사람이다. 그가.. 2019. 1. 18. 유표(劉表) 수하의 팔대맹장 글: 정회역사(情懷歷史) 유표(142-208), 자는 경승(景升), 산양군 고평현(지금의 산동성 미산) 사람이다. 동한말기의 종실, 명사이고 한말 군웅중 한 명이다. 서한 노공왕(魯恭王) 유여(劉餘)의 후손이다. 동한말기, 유표는 진남장군, 형주목, 가절에 임명되고, 성무후(成武侯)에 봉해진다. 형.. 2019. 1. 13. 이전 1 2 3 4 5 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