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유요11

동한(東漢)의 유씨성의 5대주목(州牧) 글: 심근배조(尋根拜祖) 유표(劉表), 유언(劉焉)/유장(劉璋), 유우(劉虞), 유요(劉繇)/유대(劉岱)는 동한말기 지방에 할거한 4대주목(四大州牧)이다. 유비(劉備)가 나중에 유표와 유언의 자리를 차지한다. 동한말기에 유씨성의 관리는 아주 많았는데, 그들에게는 하나의 공통점이 있었다. 모두 한고조 유방(劉邦)의 후손이라는 것이다. 먼저 그들의 혈연관계를 소개한 후, 다시 정치관계를 이야기하기로 한다. 여러 유씨주목들간의 혈연관계 1. 유대, 유원: 유방의 서장자(庶長子) 제왕(齊王) 유비(劉肥)의 후손 유대와 유요는 친형제이고, 유대는 관직이 연주자사, 유요는 양주자사에 이른다. 나중에 '양주목(揚州牧)'을 받아 동한말기 4대종실주목중 한명이 된다. 혈연관계로 보면, 이들은 황실과의 관계가 가장 소원했.. 2023. 1. 31.
촉한(蜀漢)이 멸망한 후 유선(劉禪)의 아들 7명은 어떻게 되었는가? 글: 정회역사(情懷歷史) 유선(207-271)은 형주 강릉 사람으로, 촉한 회제(懷帝(재위223-263)이다. 후주(後主)라고도 부른다. 자는 공사(公嗣)이고, 아명은 아두(阿斗)이다. 촉한 소열제 유비의 아들이다. 모친은 소열황후 감씨(甘氏)이며, 삼국시대 촉한의 제2대황제이다. 재위41년으로 삼국시기.. 2019. 7. 5.
석륵(石勒): 영웅불문출처(英雄不問出處) 글: 소가노대(蕭家老大) 영웅은 출신을 따지지 않는다. 석륵은 일자무식한 노예에서, 두각을 나타내어 중원의 주인이 되고, 나라를 세워서 황제에 올랐다. 그리고 역사에 일름을 남긴다. 그가 건립한 후조(後趙)정권은 도광검영가운데 30년간이나 존속하였다. 이것은 전설이고, 중국역사.. 2018. 12. 30.
두 왕조에서 황후를 지낸 비정황후 양헌용(羊獻容) 글: andy 먼저 진혜제(晋惠帝)의 황후로 있었고, 나중에는 흉노이 전조(前趙)에서 헌문황후(獻文皇后)로 있었던 양헌용은 일찌기 6변 폐위되고, 7번 황후에 오르며 두 나라의 황후를 지낸다. 그녀는 역사상 가장 비참하면서도 가장 운이 좋고, 가장 전설적인 황후중 한 명이다. 양헌용은 한.. 2018. 10. 30.
서진(西晋)은 왜 외족(外族)에게 멸망당했을까? 글: 여화심어(麗華心語) 308년 11월 2일, 흉노대선우 유연(劉淵)이 황제를 칭한다. 등극후에 그는 즉시 아들 유총(劉聰)과 대장 왕미(王彌)를 보내어 서진의 도성 낙양(洛陽)을 공격하게 한다. 당시, 낙양에서 대권을 장악하고 있던 동해왕(東海王) 사마월(司馬越)은 스스로의 목숨을 구하고.. 2018. 10. 22.
유파(劉巴): 유비가 전중국을 쫓아다녀 가장 힘들게 얻은 인재 글: 모운서(慕雲舒) 사람들은 유비가 제갈량을 얻기 위하여 "삼고초려"한 사실은 잘 알고 있다. 그러나 유비의 수하에 있는 인재중에서 얻을 때의 난도로 따지자면 제갈량의 삼고초려는 첫째가 아니다. 첫째는 당연히 유비가 중국의 거의 절반을 돌아다녀서야 겨우 얻은 유파라고 해야할 .. 2018. 5.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