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왕세충19

[황자쟁위술] 부저추신술(釜底推薪術) 여적교통패(與敵交通牌) 황자들이 후계경쟁을 할 때, 경쟁상대를 제거하기 위하여 후궁과 사통하였다고 황제에게 밀고하는 것과 효과에 있어서 고하를 가리기 어려울 정도인 것으로는 적국과 내통했다거나, 반신(叛臣)과 결탁했다거나, 황제시해와 황위찬탈을 도모했다는 것이 있다. 어느 황자든지 이런 유형의.. 2015. 8. 25.
이적(李勣): 충의(忠義)와 원활(圓滑) 글: 진한성(陳漢成) 이적의 충의는 본받을 만하지만, 그의 원활은 취할 게 못된다. 그가 원활하게된 것은 환경이 그렇게 만든 것이고, 부득이하게 취한 보신의 방법이다. <수당연의>에 서무공(徐茂公)은 계략을 써서 함정에 빠트릴 수도 있고, 앞 일을 귀신처럼 예측하여 지다성(智多.. 2015. 2. 10.
초당영웅(初唐英雄) 정교금(程咬金) 글: 소가노대(蕭家老大) 성당의 번영이 사람들의 마음 속에 깊은 인상을 남기면서, 초당영웅의 이미지도 민간에 널리 퍼지게 되고, 희극화, 검보화(臉譜化), 심지어 만화화의 정도에까지 이르렀다. 어떤 경우는 이미 중국에서 누구나 아는 속담이 되었다. 예를 들어: "중도에 튀어나오.. 2013. 9. 14.
당고조 이연은 어떻게 황제에 올랐는가? 글: 왕소산(王小山) 이연은 618년에 황제를 칭하고 당왕조를 건립한다. 모두 알다시피, 황제를 칭하는 것은 간단하기 그지없는 일이다. 예로부터 지금까지, 끊이지 않았다. 예를 들어 많은 산 속에 사는 사람들은 돌연 황제를 칭하고 비빈을 대거 봉한다. 그리고는 더 이상 발전하지 않고, .. 2012. 12. 22.
이적(李勣)의 충의(忠義)와 원활(圓滑) 글: 진한성(陳漢成) 이적의 충의는 칭찬할만하지만 원활은 취할 수 없다. 그러나 그의 원활은 환경이 어쩔 수 없게 만든 것이고, 부득이하게 취한 보신책이다. <수당연의>를 보면, 서무공(徐茂公)은 일을 귀신처럼 예측하고, 머리를 잘 쓴다. 지다성 오용과 같은 역할이다. 그러나, 이.. 2012. 8. 15.
정교금(程咬金): 수말당초의 혼세마왕 글: 허휘(許暉) 정교금(程咬金, 589-665). 수나라말기의 난세에 먼저 이밀(李密)의 수하가 되었다가, 다시 왕세충(王世充)의 수하가 되며, 최종적으로 이세민(李世民)에게 의탁한다. 당나라건립과정에서 여러번 전공을 세웠다. 능연각24공신중 19번째로 올라있다. 당고종때 서돌궐평민을 무고하게 죽인 죄.. 2007. 9.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