옹정제62 건륭제와 그 형제들 글: 청사(靑絲) 옹정제(雍正帝)는 일생동안 10명의 아들, 4명의 딸을 낳았다. 그러나, 단지 4명의 아들과 1명의 딸만이 살아남아 성년이 된다. 나머지는 모두 요절했다. 당시는 천연두가 유행하고, 영아사망률이 아주 높았던 시대여서, 어쩔 수 없는 일이었다. 어른이 될 때까지 살아남은 4명.. 2011. 1. 2. 강희제의 마지막 하루 글: 진령신(陳令申) 강희61년(1722년) 십일월 십삼일저녁, 일대명군 강희황제가 마침내 기나긴 인생을 끝마치고, 북경 창춘원(暢春園)에서 세상을 떠났다. 사서의 기록을 살펴서, 강희제의 마지막 며칠을 어떻게 보냈는지 살펴보도록 하자. <<청성조실록>>에 따르면 강희61년.. 2010. 12. 25. 장정옥(張廷玉): 삼조원로(三朝元老)의 비애 글: 양려광(楊麗光) 오늘은 청나라때의 삼조원로이며, <<강희자전>>, <<옹정실록>>, 및 <<명사>>, <<국사관>>, <<청회전>>의 총편관 대학사, 군기대신이었던 장정옥의 이야기를 해보자. 장정옥은 강희39년의 진사이다. 강희제때 형부시랑, 이부시랑등의 관직을 지.. 2010. 6. 12. 보통화(普通話)의 탄생과정 글: 이원강(李遠江) 1845년 6월 15일, 영국의 선교사인 스미스는 오송구(吳淞口)에서 희극적인 장면을 목격한다: "나의 남자시종(닝보 사람)은 온갖 회화능력을 발휘하여 선원, 과일장사 및 다른 사람들과 얘기를 했지만, 그의 말을 절반도 알아듣지 못하자, 기운이 빠져있었다." 비슷한 광경은 다른 통상.. 2010. 4. 22. 청동릉(淸東陵)과 청서릉(淸西陵) 글: 왕위(王偉) 명나라때는 명십삼릉을 만들었다. 십여명의 명나라황제의 무덤은 모두 이 곳에 모여있어, 후세인들이 찾아가기가 용이하다. 청나라 입관후 첫번째 황제인 순치제는 하북성 준화에 청동릉을 만든다. 그런데, 순치제의 손자인 옹정제는 다시 하북 역현에 청서릉을 만든다. 조손 두 사람.. 2010. 3. 20. 대의각미록(大義覺迷錄): 역사상 유일한 황제와 평민의 변론서 글: 유계흥(劉繼興) 청나라 옹정7년(1729), 옹정제(雍正帝)는 증정(曾靜)의 반청사건으로 <<대의각미록>>이라는 책을 펴낸다. 이 책은 4권으로 되어 있는데, 옹정제가 친히 편찬한 것이다. 그 안에는 옹정제 본인이 내린 10개의 상유(上諭), 재판기록과 증정의 구두진술 47편, .. 2010. 2. 25. 이전 1 ··· 6 7 8 9 10 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