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탈린22 중국의 한국전참전결정의 경위 글: 역사학인(歷史學人) 1950년 9월 15일, 한국전쟁의 국면이 완전히 바뀐다. 미군 맥아더원수의 지휘하에 미군 7만여명, 500여기의 비행기, 260척의 군함이 협력하여 인찬상륙작전을 벌여 조선인민군의 퇴로를 포위한다. 9월 16일, 낙동강전선의 한미군 10개사단이 대거 반격을 시작한다. 미군.. 2018. 7. 28. 헤드리크 스미스의 <러시아인>과 현재의 중국 글: 주효휘(周曉輝) 최근 중국에서 사업을 하고 있는 친척과 전화통화를 할 때, 그로부터 공장철거이전문제에 직면해 있다는 말을 들었다. 그는 이렇게 말해주었다. 현재 중국의 관리들은 공개적으로 뇌물을 받지는 못하지만, 그들은 일을 하지 않는다. 일을 하면서 계속 미루기만 한다. .. 2018. 7. 17. 맹공(孟珙): 남송에서 악비보다 뛰어났던 장수 글: 육기(陸棄), 손옥량(孫玉良) 소련에 D. A. Volkogonov박사라는 유명한 군사전문가가 있었다. 그는 <스탈린: 승리와 비극>이라는 책을 써서 세계에 이름을 떨친다. 그의 2차대전에 대한 연구는 독보적이다. 그러나 사람들이 잘 모르고 있는 것이 있다. 그는 중국의 전사(戰史)에 대하여도.. 2018. 6. 15. 와강채(瓦崗寨)는 어떻게 무너졌는가? 글: 정호청천(鼎湖聽泉) 먼저, 우리는 와강군의 멸망원인을 검토해보자. 이는 이세민의 용병에서 아주 중요하다. 만일 용맹하고 전투를 잘하는 와강군이 내분에 휩싸여 스스로 앞날을 망치지 않았더라면, 아마도 마지막에 섬서군사귀족 이연과 천하를 다투었을 사람은 바로 그들이었을 .. 2016. 12. 31. 모주석은 왜 정면사진을 찍으려 하지 않았을까? 글: 문사박람 "홍장촬영사(紅墻撮影師)" 두수현(杜修賢)은 중남해에 들어가서 뉴스촬영에 십여년간 종사하면서, 지도자들을 위하여 많은 멋진 순간들을 담았다. 거기에는 모택동의 진귀한 사진도 적지 않게 포함되어 있다. 1960년대, 천안문의 앞에 모택동의 대형화상을 교체해야 하여, 새.. 2014. 7. 17. 소련은 왜 서안사변에 반대했는가? 글: 지효민(智效民) 2013년 12월 12일은 서안사변 77주년기념일이다. 77년전에 장학량(張學良), 양호성(楊虎城)이 장개석을 구금한 후, 연안에는 무대가 만들어진 적이 있다. 공개재판을 통하여 장개석을 처형할 생각이었다. 다만, 왜그런지 2,3일후, 연안측에서는 장학량에게 장개석을 풀어주.. 2013. 11. 29. 이전 1 2 3 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