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권100 관우는 왜 딸과 손권 아들의 결혼에 반대했는가? 글: 이치아(李治亞) 관우는 촉한명장이고 유비와는 형제와 같이 가까운 사이이다. 자료기록에 따르면, 관우에게 딸이 있었고, 손권은 사신을 보내어 아들과의 혼인을 청했다. 관우는 대노하여 말한다: "한마디 더 말하면 네 목을 자르겠다. 나의 호랑이딸이 어찌 개아들에게 시집보내겠는.. 2015. 1. 14. 제갈량이 건립한 형주적(荊州籍) 방파체계 글: 호각조(胡覺照) 형주(荊州)의 패배와 이릉(夷陵)의 패배라는 두 번의 타격을 입은 후, 서촉(西蜀)은 인재결핍이 더욱 두드러진다. 제갈량이 국가를 운영하는 초기에 이로 인하여 골머리를 앓는다. <화양국지>의 기록에 따르면, 서촉은 일찌기 성도의 남쪽에 높은 누대를 지어 사방.. 2014. 12. 16. 유비는 '적벽대전'을 이용하여 어떻게 자신의 세력을 키웠는가? 글: 동호소주(東湖少主) 유비의 가장 열정적인 시기는 적벽대전을 전후해서일 것이다. 이전에 그는 아무 것도 지닌 것이 없고, 어느 곳도 머물 곳이 없었다. 사방을 돌아다니면서 이사람 저사람에게 의탁했으며, 다른 사람의 눈치를 보면서 살아야 했다. "황숙'이라는 명분은 그럴 듯하기.. 2014. 6. 23. <삼국연의>는 "존유폄조(尊劉貶曹)"인가? 글: 조종국(曹宗國) 역대이래로 논자들은 <삼국연의>에 '존유폄조'의 경향이 있다고 말해왔다. 필자는 기실 이것은 나관중을 오해한 것이라고 생각한다. 나관중은 확실히 유씨 한왕조의 정통관념을 떠받들었다. 다만 유비를 정통이라고 보지는 않았다. 오히려 가짜정통의 전형으로 .. 2014. 5. 30. 제갈량은 싸움을 잘 했을까? 글: 조종국(曹宗國) 현재의 여론은 일방적으로 제갈량이 싸움은 잘 못했다는 것이다. 첫째는 <삼국연의>에서 그를 너무나 신격화해서, <삼국지>와의 차이가 아주 크고, 둘째는 일부 사학자 특히 모택동, 속유와 같은 군사가들이 모두 그에 대하여 이렇게 평가했기 때문이다. 그러.. 2014. 5. 29. 중국전통문화의 변증법적 사고 글: 축화군(祝和軍) 민족문화의 독특성과 우월성은 드러나는 세계관과 가치관에서 체현될 뿐아니라, 숨어있는 사고방식에도 뿌리박고 있다. 인류문명의 진전에서, 중화문명이 인류고대문명중 유일하게 지금까지 연속되는 문명이 된 이유는 많은 정도에서 중국인의 문제사고의 방식과 .. 2014. 4. 29. 이전 1 ··· 9 10 11 12 13 14 15 ··· 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