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권100 삼국시대 제갈가족의 비애 글: 추일운(鄒逸雲) 삼국시대 낭야(琅邪) 제갈가족의 형세 3명은 각각 다른 주인을 모셨다. 제갈근(諸葛瑾)은 오(吳)나라의 대장군으로 선성후(宣城侯)에 봉해졌고; 제갈량(諸葛亮)은 촉(蜀)에서 승상(丞相)을 지냈으며; 제갈탄(諸葛誕)은 위(魏)에서 정동대장군(征東大將軍)을 지냈고 고평.. 2013. 4. 13. 관우와 방덕: 유사성격의 충돌 글: 염호강(閻浩崗) 관우의 장점과 약점에 대하여는 <삼국연의>의 연구자들이 이미 많이 얘기했다. 본인이 생각하기에 관우성격의 최대특징은 바로 "지나친 자신감"이다. 이 특징은 그가 몇 가지 기적을 만들어내게 했다. 예를 들어 순식간에 화웅의 목을 벤 것이나, 안량, 문추를 벤 .. 2013. 2. 16. 손호(孫皓): 동오의 마지막 황제 글: 아정(阿丁) 손호는 삼국시대 마지막 동오의 황제이다. 자는 호종(皓宗)이고 또 다른 이름은 팽조(彭祖)이다. 비록 팽조라는 이름을 가졌지만, 겨우 42년밖에 살지 못했다(팽조는 고대의 장수하였다는 전설상 인물). 손호의 부친은 손화(孫和)이고, 손권의 셋째 아들이다. 신분은 폐태자(.. 2012. 9. 20. 제갈량: 미묘한 군신관계로 본 인격분열 글: 호각조(胡覺照) 필자는 <출사표에서 한 것은 황제꿈이다>라는 글에서 이미 제갈량이 황제가 되려고 했다는 근거를 나열한 바 있다: (1) 남정에서 성도로 돌아올 때, 이미 '오석'을 받았다. 즉, 금부월 1병, 곡개 1구, 전후우보거 각 1부, 취고수 각 1대, 호분용사 육십명. 이것은 대신.. 2012. 8. 18. 제갈량의 약점 글: 차옥민(車玉民) 고전문학의 명저 <삼국연의>는 많은 인물들을 생동감있게 그리고 있다. 그중에서도 제갈량은 천고에 보기 어려운 현상(賢相)의 모범이며, 지혜의 화신이다. 대다수의 연구자들은 모두 이를 충분히 인정하고 찬송한다. 그러나, 사람이라면 누구나 약점이 있다. 제.. 2012. 7. 15. 조운(趙雲)은 무장이 아니라 문신이다. 글: 이회순(易懷順) 만일 조운이 문신(文臣)이라고 한다면 논란을 한바탕 불러올 것이다. 그러나, 조운이 무장(武將)이라는 것은 확실이 의문이 든다. 조운의 오호상장(五虎上將)이라는 신분은 주로 나관중의 <삼국연의>에서 비롯된 것이다. 그러나, 진수의 <삼국지>에는 그런 기.. 2012. 6. 29. 이전 1 ··· 12 13 14 15 16 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