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서유기20

중국고전소설에 나오는 '축구' 글: 고오광생(孤傲狂生) 축구는 고대 중국에서 "축국(蹴鞠)"이라고 불렀다. 일찌기, <전국책>과 <사기>에 모두 축국에 관한 문자가 기록되어 있다. 나중에 나온 고전소설에서의 축국에 대한 기술은 대부분 아주 간략하다. 예를 들어, <삼언이박(三言二拍)>, <홍루몽>, <아.. 2014. 7. 17.
홍루몽은 어떻게 중국제일명저로 되었는가? 글: 주가웅(朱家雄) "사대명저(四大名著)"는 오늘날 중국인들에게는 귀에 딱지가 앉을 정도로 들은 말이다. <삼국연의>, <수호전>, <서유기>, <홍루몽>(책이 만들어진 순서)의 이 4권의 거작은 중국백성들이 가장 잘 알고 있는 소설이며, 방대한 독자층을 형성하고 있을 뿐.. 2013. 12. 24.
건륭제는 무슨 물로 차를 끓였는가? 글: 도몽청(陶夢淸) 역대제왕들 중에서 건륭은 차를 아주 좋아했다. 차를 끓일 때 쓰는 물에 신경을 많이 썼다. 그는 강소성 진강(鎭江)의 "중냉천(中冷泉)"이 가장 좋다고 여겨서, "천하제일천(天下第一泉)"이라고 불렀다. 그래서 일찌기 시를 두 편이나 지어서 '중냉천'을 칭송한 바 있다. .. 2013. 6. 26.
척설오추(踢雪烏騅): 황제가 하사한 천리마 글: 안입지(安立志) 최소한 호복기사(胡服騎射)부터, 전마(戰馬)는 군인들이 전쟁을 수행하는데 중요한 반려였다. 북방의 흉노, 거란, 여진, 몽골등 민족이 중원을 통치할 수 있었던 것은, 심지어 유라시아대륙을 종횡할 수 있었던 것은 주로 기병(騎兵)이 강대했기 때문이다. 이 전통은 냉.. 2012. 8. 19.
중국인들은 왜 글에 자신의 서명을 남기지 않았을까? 글: 주운(周雲) 자신이 글을 쓰면서, 다른 사람의 이름을 쓴다? 이런 일은 계속 있어왔다. 그리고 고대에는 현대보다 더욱 자주 나타났다. 아주 보편적인 현상이었다고도 말할 수 있다. 장지동(張之洞)은 그래서 이런 말도 했다: "진위를 한번 나누기 시작하면, 고서의 절반은 버려야 한다.".. 2012. 5. 2.
<<서유기(西遊記)>>의 작자는 '오승은(吳承恩)'이 아니다. 글: 황수우(黃守愚) 백회본소설 &lt;&lt;서유기&gt;&gt;의 진정한 작자가 누구인가? 역시 고증할 방법이 없다. 백회본소설 &lt;&lt;서유기&gt;&gt;가 가장 먼저 간행된 것은 명나라 만력 20년(1592년)이다. 금릉당씨세덕당각본(金陵唐氏世德堂刻本)으로 20권, 100회이다. 여기에는 작자의 성명이 적혀 있지 않다. 책.. 2010. 2. 2.
황제의 고독과 비애 글: 장척곤(庄滌坤) 양결(楊潔)이 주연한 TV 드라마 &lt;&lt;서유기&gt;&gt;는 봤을 것이다. 그렇지만 오승은(吳承恩)의 &lt;&lt;서유기&gt;&gt;는 읽어보지 못했을 수 있다. 그리하여 사람들의 당승(唐僧)에 대한 이해는 바로 TV드라마에서의 모습과 같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내가 만일 드라마영화작품중에서 당.. 2009. 11. 16.
세명의 무능한 남자의 성공의 길 글: 구개명(瞿凱明) 고전문학의 4대명저를 읽다보면, 세 명의 남자는 모두 가장 뛰어난 사람도 아니고, 가장 우수한 사람도 아니며, 보기에 아주 무능해 보이는데, 아주 큰 일을 해내고, 성공을 거둔다. 그들은 바로, &lt;&lt;삼국연의&gt;&gt;의 유비(劉備), &lt;&lt;서유기&gt;&gt;의 당승(唐僧, 삼장법사), 그리.. 2007. 7. 10.
손오공(孫悟空)의 원형은 무엇인가? 인도의 신후 하누만 2006년 12월 27일 &lt;&lt;서천제신-고대인도괴보전&gt;&gt;이 북경 수도박물관에서 시작되었다. 이전에, 인도국가박물관에서 온 하나의 소장품 "신후하누만흉상(神&amp;#29492;哈奴曼胸像)"은 일찌감치 각종 매체의 포커스를 받았다. 왜냐하면, 중국의 고전명작 서유기에 나오는 손오공의 .. 2007. 1. 19.
중국사대명저는 중국사회에 무슨 작용을 했는가 작자: 한진(韓進) =============== 스스로를 더욱 비하하는 사람일수록, 세상사람들에게 자신의 존귀함을 더욱 드러내고자 한다. 중화민족이 세계에 대한 공헌이 적으면 적을수록, 우리는 더욱 좋은 물건을 꺼내서 세상에 자랑하고자 한다. 사대명저는 우리가 끌어안고 있는 보배이다. 그러나, 사대명저는 .. 2006. 8.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