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삼성42

차이나모바일: 중국산 스마트폰 정책의 미래는? 글: 손영걸(孫永杰) 최근 매체의 보도를 보니, 차이나모바일이 600만대의 TD-SCDMA표준의 핸드폰을 구매하면서, 모조리 중국내업체가 낙찰받았다고 한다. 외국브랜드는 하나도 들어가지 못했다는 것이다. 필자는 이것이 도대체 무엇을 설명하는지 잘 모르겠다. 3G시대에, 국산핸드폰의 경쟁력이 제고되었.. 2010. 11. 30.
중국의 3D TV시장 글: 후설련(侯雪蓮) 삼성, LG, TCL, Konka(康佳), HiSense(海信), Skyworth(創維)등 칼라TV업체들은 모두 "5.1"전에 대형3D TV를 내놓으려고 경쟁하고 있으며, "5.1"연휴기간에 정식 출시될 예정이다. 그렇기는 하지만, 업계인사들은 전통적인 LCD, LED 컬러TV와 비교하여, 3D의 전쟁은 더이상 칼라TV 단일상품의 독립된 전.. 2010. 4. 20.
일본계 핸드폰은 중국시장에 권토중래할 수 있을까? 작자: 장관경(張貫京) 비록 일본 본토핸드폰기업이 일본국내핸드폰시장에서는 괜찮은 실적을 보이지만, 중국시장에서는 이미 오랫동안 일본핸드폰기업의 목소리가 들리지 않게 되었다. 최근, 샤프 핸드폰이 흐름을 거슬러, 마치 대거 중국핸드폰시장으로 진군하려는 모습을 보이는 것같다. 중국 유.. 2008. 11. 1.
창홍(長虹)의 PDP 도박 글: 후설연(侯雪蓮) 2008년 10월말, 창홍 PDP는 양산체제에 들어갔다. 60억위안의 거액투자는 중국칼라TV업계에서 후방산업으로 진군하기 위한 최대의 투자였다. 전세계적으로 보면, 모든 TV대기업중에서 마쓰시다(松下), 히타치(日立) 만이 견고한 PDP파에 속해 있다. 국산 PDP진영중에서는 어느 기업도 창.. 2008. 10. 13.
중국의 3G에 대한 외국의 태도 글: 진영동(陳永東) 중국의 3G발전상황은 외국의 주목을 끌고 있다. 많은 외국 매체들은 중국 3G시장의 거대한 발전공간을 보고 있다. 그러나, 일부 국외인사들이 중국3G에 대하여 내놓는 논조는 어떤 경우는 질투, 어떤 경우는 우려, 어떤 경우는 편견, 어떤 경우는 단견을 보여준다. 중국인들은 세계가 .. 2008. 5. 14.
일본 핸드폰의 중국시장 퇴출 (II) : 오만과 편견 일본계 핸드폰은 왜 중국시장에서 실패했는가? 원인은 여러가지일 것이다. 그러나 <>의 취재과정에서 발견한 일본계 핸드폰의 가장 큰 패인은 중국시장을 존중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일본 와세다대학의 아태연구센터 교수 겸 부소장인 장림화생(長林華生)은 기자의 방문을 받고, 중국에서의 일본.. 2006. 12. 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