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무측천113

무측천은 왜 이씨에게 천하를 돌려주었는가? 글: 위석아(危石兒) 재초2년(690년) 구월 초구일, 많은 여론조작을 통하여 분위기를 형성한 후에, 무측천은 백관과 황실, 종실인척등 육만여명이 보는 가운데 황제의 보좌에 오른다. "신성황제"라 칭하며, 국호를 당(唐)에서 주(周)로 바꾸여 이당의 황권을 끝이 난다. 그리고 이현은 황위후.. 2015. 1. 14.
역사상의 무측천: 공어심계(工於心計), 심한수랄(心狠手辣) 글: 고회민(高會民) 무씨(武氏), 통상적으로 무측천(武則天) 혹은 무후(武后)라고 칭하며, 당중종, 당예종때 황태후로 임조칭제(臨朝稱帝)하는 기간동안 이름을 "무조(武曌)"라 고친다. 그녀는 중국역사상 유일하게 군권(君權)을 장악하여 보편적으로 인정되는 여황제이다. 무측천은 병주(.. 2015. 1. 14.
원세개 신변의 구재인(九才人) 글: 장문서(張文瑞) 원세개 일생의 영욕훼예(榮辱毁譽)에 대하여는 여러가지 견해들이 있다. 죽은지 백년이 지났는데도 아직 정설이 없다. 원세개의 일생을 살펴보면 그의 도덕이나 문장은 제외하고라고 한 일은 적지 않다. 일을 하려면 사람이 필요하다. 사람을 쓰려면 먼저 사람을 알아.. 2015. 1. 14.
한자고(韓子高): 중국역사상 유일한 남황후(男皇后) 글: 자일(子逸) 자고이래로, 황제는 일반적으로 남자가 맡았고, 황후는 일반적으로 여자가 맡았다. 중국5천년의 역사 속에서 무측천같은 여황제가 나타나기도 하였지만, 남황후가 나타난 적도 있었다. 그는 바로 남북조시대 진문제(陳文帝)의 남총(南寵)인 절세미남 한자고이다. 한자고의.. 2014. 11. 20.
낙빈왕(駱賓王)의 최후에 관한 수수께끼 글: 진령신(陳令申) "시간금일지성중(試看今日之城中), 경시수가지천하(竟是誰家之天下)"(한번 봐라 오늘날의 성을. 도대체 어느 집안의 천하인지?)라는 문구로 무측천의 얼굴색을 바뀌게 만들었던 낙빈왕, 그는 초당(初唐)의 사단에서 활약했던 인물로, '초당사걸(初唐四傑)"의 한 명이다.. 2014. 9. 8.
무측천의 모친 양씨는 어떤 사람인가? 글: 이치아(李治亞) 무측천은 대단한 여인이다. 그러나 그녀의 모친도 대단한 여인이다. 왜냐하면 그녀는 많은 여인들이 하지 못한 일을 해냈다. 자료에 따르면, 양씨에게는 다음과 같은 몇 가지 특징이 있다: 첫째, 명문의 후예. 무측천의 모친은 성이 양(楊)이다. 수문제 양견(楊堅), 양옥.. 2014. 8. 26.
딩니라때 사람들은 상관완아(上官婉兒)를 어떻게 평가했는가? 글: 조염(趙炎) 차문도장리(借問桃將李), 상란욕하여(相亂欲何如) 이것은 무주(武周)시대 여관 상관완아의 응제시(應制詩)이다. 아이러니한 것은 1300년이 지난 오늘날, '당고소용상관씨묘(唐故昭容上官氏墓)'가 발굴되면서, 우리는 마찬가지로 묻고 있다. 상관완아, 도대체 어떤 여인인가?.. 2014. 4. 4.
무혜비(武惠妃): 당현종의 후궁을 어지럽힌 무측천의 손질녀(孫姪女) 글: 소가노대(蕭家老大) 젊어서 영명신무(英明神武)했던 당현종 이융기와 그와 마찬가지로 영명신무했던 증조부 당태종 이세민은 등극방식이 똑같을 뿐아니라, 중국역사상 마찬가지로 휘황한 태평성세를 만들었다. 바로 후세에 이름을 남긴 '정관지치'와 '개원성세'이다. 다만, 서로 다.. 2014. 4. 4.
중국에서 황제의 호칭은 어떻게 변화했는가? 글: 이묵추(李墨秋) 이전에 중국고대역사를 읽을 때, 나는 왕왕 한 가지 문제에 대하여 의혹을 느꼈다. 즉 우리가 중국고대의 황제를 부를 때, 처음에는 모두 "00제(帝)"(시호)로 불렀다. 예를 들어, 한무제, 수문제 등등. 그러나 당나라때가 되면 이 칭호는 사라지고, 그에 대체하여, "0조", "0.. 2014. 3. 2.
이융기(李隆基)는 왜 다시 한번 현무문사변을 일으켰는가? 글: 소가노대(蕭家老大) 당나라때, 정변이라는 판도라상자를 열어제낀 사람은 당태종 이세민이다. 태자 이건성과 당시 아직 진왕(秦王)으로 있던 이세민은 서로 상극이었다. 이세민은 결국 현무문에 복병을 두고 태자 이건성과 셋째동생 이원길을 주살한 것이다. 3일후 이세민은 태자가 .. 2014. 1.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