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무삼사19

진자앙(陳子昻)은 왜 무삼사(武三思)에게 죽임을 당했는가? 글: 정호청천(鼎湖聽泉) 초당(初唐)의 저명한 시인 진자앙은 아직 이름을 떨치지 못했을 때 다른 사람들을 본받아 상경한다. 고향인 사천(四川)에서 당시의 도성인 장안(長安)으로 간다. 장안에는 문학거장이 많았으므로, 자신도 운이 좋으면 문학계의 거두에게 인정을 받아 이름을 날릴 .. 2018. 2. 13.
중국역사상 이름난 32명의 공주중에서 누가 가장 미인이었을까? 글: 이자지(李子遲) 중국은 수천년의 유구한 문명역사를 지니고 있다. 수백개에 이르는 역대왕조에는 수천에 이르는 황제와 국왕이 있었고, 수만에 이르는 제왕의 딸 즉 공주가 있었다. 그녀들은 금지옥엽이라 부를 만하다. 제왕의 딸로서 온나라의 상하, 백성들 중에서 가장 찬란한 진주.. 2018. 1. 31.
무측천 사후에 무씨집안사람들은 어떻게 되었는가? 글: 자야비설2013(子夜飛雪2013) 아마도 많은 사람들은 이렇게 생각할 것이다. 무측천이 죽은 후, 무씨가족이라는 이 왕조를 뒤집어엎으려 했던 가족은 바로 멸문을 당했을 것이라고. 그러나, 역사는 가끔 예측불허이다. 사실상 이당황실이 복위한 후, 무씨가족은 여전히 잘 나갔다. 이씨가.. 2017. 10. 17.
[황자쟁위술] 양차동풍술(亮借東風術) 차목탑교패(借木搭橋牌) 농업, 공업, 상업을 경영하건, 아니면 제왕의 사업을 투기적으로 경영하건 차목탑교(나무를 빌려 다리를 놓는다)의 방식은 상책중의 상책이다. 무슨 일을 하건 먼저 어느 정도의 본전을 투입해야 한다. 여불위 같이 제왕지업(帝王之嶪)을 경영하면 일본만리(一本萬利)할 수도 있다. 그리.. 2015. 10. 11.
적인걸(狄仁傑)의 남다른 말년 글: 이숙금(李淑琴) 적인걸(630-700), 당나라때 병주 태원(지금의 산서성 태원시) 사람이고, 자는 회영(懷英)이다. 당고종, 무측천의 두 황제시대를 거치면서 일생동안 관료생활을 하였고, 청렴하며, 사람을 잘 기용하고, 사건을 잘 처리했으며, 간악한 자들을 제거했다. 원래 혼란스러웠던 .. 2015. 2. 10.
무측천은 왜 다섯 오빠를 모두 죽였는가? 글: 무만란강(霧滿攔江) 당나라역사를 아는 사람이면 모두 알고 있을 것이다. 무측천은 일찌기 이당(李唐)의 천하를 무주(武周)의 천하로 바꾼 바 있다. 그녀에 대하여 잘 모르고 있는 것은 무씨집안을 위하여 천추기업을 닦고자 했던 무측천이 무씨집안의 그녀와 같은 배분의 5명의 남자.. 2015. 2.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