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한25 중국고대 여인의 4가지 헤어스타일 글: 예방육(倪方六) 사료와 고고학발견으로 보면, 고대여성은 헤어스타일에 아주 신경을 많이 썼다. 그래서 적지 않은 유행하는 헤어스타일을 발명한다. 그중 "피발(披髮, 산발)", "단발(斷髮)", "변발(辮髮, 땋은 머리)", "계발(髻髮, 상투머리)"의 네 가지가 가장 유명하다. 이를 중국.. 2015. 2. 10. 황건적의 난 이후의 5년(2): 소란에서 내전으로 '황건'이후의 5년은 먼저 소란에서 내전으로 변화하는 5년이다. 동한의 변경지구와 소수민족의 반란(어떤 사람은 의거라고도 부르나 그건 각자 알아서 붙이면 될 일이다)은 건국이래 계속 있어왔다. 마원(馬援)의 이야기가 비교적 유명하다. 상대적으로 말해서, 전삼조의 상황은 기본적으.. 2014. 12. 12. 황건적의 난 이후의 5년(1): 의의 글: 낙극(洛克) 장각(張角)이 이끄는 '황건적의 난"은 난을 일으킨 해에 동한정권에 의하여 진압된다. 이 점에 있어서 이전 두 왕조말기의 농민의거와는 확실히 다르다. 진말과 서한말기(정확히 말하면 왕망의 신말기)의 농민의거는 모두 난이 일어난 후 얼마 지나지 않아 원래의 정권이 .. 2014. 12. 12. "사지태수(四知太守)" 양진(楊震) 글: 당보민(唐寶民) 양진을 얘기하자면, 사람들은 먼저 그가 유명한 '사지태수'라는 것을 떠올릴 것이다. 왜냐하면 그것은 그의 청렴을 천하에 이름떨치게 만든 유명한 이야기이기 때문이다. 하루는 저녁에 한 사람이 양진에게 뇌물을 가지고 와서 그에게 이렇게 말한다: "지금은 밤이고 .. 2014. 10. 2. 왜 진한(秦漢) 사람들은 습관적으로 "미(眉)"를 "미(麋)"라고 적었는가? 글: 양혜왕(梁惠王) 글자를 쓸 때는 간편한 것이 최고이다. 그래서 천백년이래 글을 쓰는 사람은 줄여서 편하게 쓸려고 한다. 다만, 예외도 있다. 예를 들어, "미(眉)"를 "미(麋)"로 쓰는 경우가 있는데, 진한때 사람들이 자주 그렇게 했다. 수호지진간이건, 마왕퇴백서이건, 아니면 방마.. 2013. 5. 18. 동한(東漢)의 관직(官職) 글: 추산(秋山) 1. 중앙 동한의 중앙정부의 관리는 성관(省官), 궁관(宮官), 외관(外官)의 3대계통이 있다. '내관', '외조'의 구분은 예로부터 있어 왔다. 그리고 궁정내에 황제가 일상기거를 하는 구역을 성중(省中, 禁中이라고도 칭한다)이라고 칭한다. 그러므로, 내궁관리중에는 궁관과 성.. 2013. 4. 13. 이전 1 2 3 4 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