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운하17 수양제의 최후 글: 김만루(金滿樓) 2013년 4월, 양주 한장구(邗江區) 서호진 사도촌 조장(曹莊)에서 수양제의 능침으로 추정되는 고묘를 발견했다. 반년여의 반복논증을 거쳐, 국가문물국과 중국고고학회의 권위있는 전문가는 11월 16일 소집된 감정결과기자회견에서 이렇게 말했다. 묘장의 형제, 묘내.. 2013. 11. 27. 정관지치(貞觀之治)의 진상 글: 역사상나사사(歷史上那些事) "정관지치"는 중국인들이 영원히 잊지 못하는 위대한 시대이다. 이 시대에 인민들은 자신의 생업에 편안하게 종사하고, 태평성대를 노래하고 춤추었으며, 황제는 자상하였으며, 백관들은 자신의 직분을 잘 지켰다. 쌀독 안에는 다 먹을 수 없을 만큼이 쌀.. 2013. 2. 4. 중국인들은 왜 수양제(隋煬帝)를 미워하는가? 글: 장굉걸(張宏杰) 중국역사는 '전형적인 인물'로 구성되었다. 사관(史官)들은 선험적으로 강청 동지의 지시를 관찰해서, '중간인물'은 쓰지 않았다. 그저 '신(神)'으로 만들거나, '귀(鬼)'로 만든다. '신' 시리즈에는 문무주소(文武周召, 주문왕, 주무왕, 주공, 주소왕), 공맹정주(孔孟程朱, .. 2012. 9. 19. 대운하의 죽음 글: 홍촉(洪燭) 1980년대, TV다큐멘터리중에 <화설운하(話說運河)>라는 것이 있었는데, 옛날을 그리워하는 필치로 겅항대운하(京杭大運河)의 성쇠와 시말을 그렸다. 촬영팀이 대운하일선을 직접 다녀보았는지 아닌지는 모르겠다. 옛날이라면 그렇게 하려면 얼마나 많은 신발이 닳아 없.. 2012. 3. 18. 식량(食糧): 진정한 역사의 조타수 글: 왕효명(王曉明) 이런 말이 있다. '백성들은 먹는 것을 하늘로 삼는다(民以食爲天)". 중화대지의 양식을 이해하여야 우리는 비로소 중국의 고대역사를 이해할 수 있다. 양식이 있어야 사람은 생존을 위한 조건을 갖추는 것이다. 사람이 생존해야 경제가 발전할 수 있고, 세금을 .. 2012. 1. 30. 수양제는 왜 대운하를 건설했는가? 글: 설봉(薛鋒) 608년, 즉 대업3년, 수양제 양광이 막 황제에 오른지 얼마지나지 않아, 대거 수리공사를 벌이게 되었다. 먼저 통제거(通濟渠)를 파서, 북으로 탁군(涿郡)과 통하게 하였고, 이전에 팠던 광통거(廣通渠)와 연결하여 황하(黃河)와 회하(淮河)를 직접 연결하는 수로교통이 뚫리게 되었다. 그후.. 2010. 7. 12. 이전 1 2 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