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운하17 북경의 동부서귀(東富西貴) 글: 유앙(劉仰) "동부서귀(東富西貴)"는 북경성을 묘사하는 말이다. 그 뜻은 북경성의 동쪽에는 돈많은 사람이 비교적 많고, 서쪽에는 지위가 높은 사람이 비교적 많다는 말이다. "동부서귀"라는 말은 현상을 묘사하는 것일 뿐아니라, 역사적인 유래도 있다. 다만, 역사상 최초로 나온 "동부서귀"는 오늘.. 2009. 1. 10. 북경의 황실식량창고 출처: 북경TV 3채널 '매력과학' 프로그램 2008년 6월 26일 방송 사람들은 말한다: 민이식위천(民以食爲天, 백성은 먹는 것을 하늘로 안다). 그렇지만 당신은 아마도 모르고 있을 것이다. 역사상의 북경은 일찌기 식량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백년이상이나 곡절을 겪었었다는 사실을... 오늘 얘기할 이야기.. 2008. 6. 27. 수당대운하(隋唐大運河): 지하의 휘황 글: 서을(舒乙) 중국대운하를 자세히 나누면 두개의 계통으로 나뉜다: 하나는 경항대운하(京杭大運河, 북경에서 항주까지의 대운하)이고, 다른 하나는 수당대운하(隋唐大運河)이다. 이 둘은 완전히 다른 두 개의 대운하이다. 시간도 다르고, 지리적위치도 다르다. 비록 다같이 대운하라고 불리고는 있.. 2008. 3. 20. 수(隋)나라 대운하(大運河) 중국의 큰 강들은 모두 서쪽에서 동쪽방향으로 횡단하며 흐르고 있다. 그리하여, 현대적인 육로교통수단이 나타나기 전에는 남북을 종단하는 수로운송이 아주 필요했다. 특히, 남북조의 분열시대를 마감하면서, 수나라가 전국통일을 이룬 이후에는 그 필요성이 더욱 커졌다. 당시, 수나라의 정치,군.. 2007. 5. 30. 중국인들은 왜 수양제(隋煬帝)를 싫어하는가? 글: 장굉걸(張宏杰) 중국역사는 "전형적인 인물"로 구성되어 있다. 사관(史官)들은 일관되게 선험적으로 강청 동지의 지시를 관철하여 '중간인물'로 쓰지 않았다. 그저 '신'으로 만들거나, '귀신'으로 묘사했다. '신'계열의 인물로는 문무주소(文武周召, 문왕 무왕 주공 소공), 공맹정주(孔孟程朱, 공자 .. 2007. 3. 15. 이전 1 2 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