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누르하치59

이성량(李成梁): 누르하치를 생포한 적이 있는 대명의 명장 글: 육기(陸棄), 손옥량(孫玉良) 대명왕조의 명신종(明神宗) 만력제(萬歷帝) 주익균(朱翊鈞)은 세상 사람들의 눈에는 "깡패황제"이고, 역사학자들도, "명나라가 망한 것은 명목상으로는 숭정제때 망했지만, 실제로는 만력제때 망했다"는 말이 있다. 그러나, 역사상 주익균은 그다지 무능하.. 2018. 1. 17.
명(明), 청(淸) 동시대 최고지도자 3명을 비교한다. 글: 정만군(程萬軍) 명청사(明淸史)를 잘 아는 독자는 알고 있을 것이다. 청나라는 1616년에 건립되었으며 처음에는 "후금(後金)"이라고 하였고, 여진족의 한 갈래인 건주여진(建州女眞)이 건립했다. 이 정권은 중국을 통치하기 전에, "황조"를 이루기 전에, 중국의 지방소수민족 자치정권이.. 2018. 1. 8.
동치제: 허수아비로 산 가장 불쌍한 황제 글: 문재봉(文裁縫) 오늘 이야기할 주인공은 동치제이다. 청나라가 산해관을 넘어온 이후 제8대황제이다. 그는 나이 겨우 19살에 병사하였으니, 단명황제이다. 역사의 긴 강물에서는 아주 짧은 일순간이다. 비록 그러하지만, 동치제는 제왕의 존귀한 몸으로 주목을 받는다. 우리는 그의 인.. 2016. 11. 5.
청왕조는 왜 금왕조를 숭상하고 인정했는가? 글: 개풍문사(凱風文史) 여진인(女眞人)을 얘기하자면 모두 '정충보국'의 악비를 떠올릴 것이다. 그때 악비는 악가군을 이끌고 금왕조의 철기에 항거하여 용맹하게 싸웠다. 금왕조를 건립한 민족은 여진인이다. 그들은 일찌기 중국북방지구를 백년간 통치했고, 먼저 북송을 멸망시키고, .. 2016. 6. 29.
[황자쟁위술] 이세탈인술(以勢奪人術) 과유불급패(過猶不及牌) 적장자로 태자의 자리에 오르게 되면, 다른 형제들이 감히 자신의 자리를 넘보지 못하게 기세로 눌러줄 필요가 어느 정도 있다. 다만, 그와 동시에 형제들에게 인덕(仁德)을 베풀어 주거나 최소한 인덕을 가장할 필요는 있다. 이를 제대로 처리하지 못하면 태자의 자리가 위태로울 수 있.. 2015. 10. 11.
[황자쟁위술] 여인노선술(女人路線術) 화기소장패(禍起蕭墻牌) 당현종편외 당현종과 양옥환(楊玉環, 양귀비)의 이야기는 백거이의 <장한가>를 통해 대대로 전해져 내려오고 있다: “칠월칠일장생전(七月七日長生殿), 야반무인사어시(夜半無人私語時), 재천원위비익조(在天願爲比翼鳥), 재지원위연리지(在地願爲連理枝).” 그러나, 당현종이 사랑한 양옥환은.. 2015. 8.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