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누르하치59

모문룡(毛文龍) : 명나라 말기의 장수 모문룡(1576-1629). 절강 인화(지금의 항주)사람이다. 어려서 부친을 잃고, 모친을 따라 외삼촌인 심광조(沈光祚)의 집에서 살았다. 모문룡은 경서를 읽기를 싫어했고, 일하는 것도 싫어했다. 사람들의 관상과 사주를 봐주면서 생활을 영위했다. 천계원년(1621년) 즉, 모문룡이 45세되기 전까지 그가 무엇을 .. 2007. 5. 29.
청나라의 북경천도이전의 3곳 수도 글: 염숭년(閻崇年) 청나라의 최초 수도는 허투아라(赫圖阿拉)이다. 허투아라는 지금의 요녕성 무순(撫順)시 신빈(新賓)만주족자치현 영릉진(永陵鎭) 노성촌(老城村)이다. 일찌기 명나라 만력31년(1603년), 누르하치는 포아라(佛阿拉)에서 허투아라로 옮겼다. 포아라는 줘페이아라(作費阿拉)이라고도 쓰.. 2007. 5. 22.
심양고궁(瀋陽故宮) 심양고궁의 원래 이름은 성경궁궐(盛京宮闕)이었고, 이후에는 봉천행궁(奉天行宮)으로 불리웠다. 이 곳은 청나라가 북경으로 수도를 옮기기 전의 황궁이었고, 애신각라씨가 흥기한 땅이다. 380년전에 청나라의 창시자는 바로 여기에서 중원을 향한 마지막 발걸음을 내디딜 준비를 하고 있었다. 380여년.. 2006. 12. 12.
누르하치의 성(姓)은 무엇인가? 청태조 누르하치의 성은 무엇인가? 보통은 아무런 의심없이 애신각라(愛新覺羅, 아이신줴뤄)라고 하게 될 것이다. 사실 누르하치의 성에 대하여는 문헌, 야사에 잡설이 분분하다. 문헌의 기재에 따르면 모두 6가지의 기록이 있다: 통(佟), 동(童), 최(崔), 작(雀), 각라(覺羅), 애신각라. 만학.. 2006. 11. 10.
누르하치와 그의 부인들 청태조(淸太祖) 누르하치(奴爾哈赤, 1559-1626)는 황제로 칭하지 않았으므로 그 부인들을 당시에는 황후로 부르지는 않았다. 만주어로 부인은 푸진(福晉)이라고 불렀고, 정실부인을 대푸진(大福晉)으로 불렀으며, 이후 역사서에서는 대비(大妃)로 불리운다. 누르하치의 대비는 전후 4명이 있다. 첫째 정실.. 2005. 8.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