곽거병16 우문헌(宇文憲): 북주(北周) 최대의 원안(寃案) 글: 육기(陸棄), 손옥량(孫玉良) 북주의 흥성은 실로 북제를 멸망시키고 남북대치를 하는데 있고, 우문헌의 공이 가장 크다고 할 수 있다. 북주의 멸망은 실로 주선제가 스스로 대들보를 제거한데 있다. 즉, 우문헌을 궁안에서 액사하도록 한데 있다. 북조의 흥망성쇠는 실로 비감하다. 우.. 2018. 6. 18. 공리주의역사관: 악비와 문천상을 민족영웅에서 몰아내다. 글: 조아도(趙亞濤) 1 12세기, 금나라군대가 황하를 넘고, 대송왕조는 순식간에 역사존망의 벼랑끝에 섰다. 송휘종,송흠종 두 황제는 왕공귀족을 이끌고 망국노(亡國奴)로 전락한다. 그러나 황하양안의 인민대중의 마음 속에는 여전히 대송왕조가 있었다. 상주부(相州府) 탕음현(湯陰縣)의.. 2018. 1. 23. 비장군 이광(李廣)이 평생 제후에 봉해지지 못한 이유는? 글: 진사황(秦四晃) 한나라장수 이광은 농서 성기(成紀), 즉 지금의 감숙성 태안 사람이다. 사마천은 그의 조적은 기실 섬서 흥평이라고 했다. 이씨가족의 조상은 전투를 잘 했고, 활쏘기는 가전의 절기였다. 진나라때 유명한명장을 배출하는데, 전해지는 바에 따르면 진나라가 연나라를 .. 2015. 3. 26. 중국역사상 초일류 십대무장(十大武將) 글: 단전룡(段錢龍) 1. 병가식신(兵家識神) 손무(孫武) 후인들이 그를 손자(孫子), 손무자(孫武子), 병성(兵聖), 백세병가지사(百世兵家之師), 동방병학비조(東方兵學鼻祖)로 추앙한다. 그는 기원전535년경에 출생했고, 일찌기 <병법> 13편을 오왕합려에게 보여주어, 장군의 직을 받는다. .. 2015. 3. 26. 관료생존법칙: 이상은(李商隱)과 유중영(柳仲郢) 글: 맹헌실(孟憲實) 관료생애에 항상 이런저런 써클(圈子)을 만나게 된다. 그때 당신은 그 써클에 가입할 것인가(줄서기) 아닌가를 선택해야 한다. 줄서기를 한다는 것은 어느 정도 써클의 파워가 큰지 작은지에 따르게 되나, 파워라는 것은 항상 변하기 마련이다. 그래서 줄서기의 결과는.. 2015. 2. 10. 곽거병은 어떻게 흉노에 승리할 수 있었는가? 글: 몽고창랑 흉노는 유목민족이다. 어린아이도 어려서부터 말 등에서 자랐고, 말타기와 활쏘기에 능했다. 중원의 한병(漢兵)과 비교하면 속도가 빠르고, 전투력이 강했다. 동시에, 흉노는 먹는 것도 육식위주였다. 그래서 말린 소고기 양고기를 군량으로 삼았다. 말린 소고기, 말린 양고.. 2013. 6. 10. 이전 1 2 3 다음